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자신의 장관직 사퇴 당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낙연 전 대표의 움직임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면서 더불어민주당 내부가 부글거리고 있다.
친명(친이재명)계 내부에서도 “민주당 통합에 방해되는 행보”라며 “추 전 장관의 발언이 부적절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비명계 재선 의원은 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을 대권후보로 만들어 준 게 사실상 추미애 아니냐”면서 “그래놓고 이제 와서 전임 대통령까지 저격하는 건 이번엔 ‘개딸’에게 잘 보이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친명계도 추 전 장관의 내부 저격이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친명계 좌장 정성호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에서 “(이재명 대표 측에서는) 당연히 부담스럽지 않겠느냐”면서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이 당의 통합이고, 소위 말하는 친문·비문·친명·비명 이런 것을 넘어서 총선 승리를 위해 하나가 돼야 되는데 자꾸 과거를 파헤친다고 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추 전 장관이 친명계 줄서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진행자 질문에는 “(이재명 대표 측에서) 더 부담이 돼서 줄 서려고 해도 오히려 줄 설 수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친낙(친이낙연)계 윤영찬 의원도 추 전 장관의 발언을 비판했다.
윤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에서 “당 대표도 지내셨고 법무부 장관도 지내신 분이 본인과 관련되어 있는 사안들에 대해서 주관적으로 사적인 감정을 가지고 폭로하는 게 과연 어른다운 행동이냐”고 반문했다.
추 전 장관의 잇따른 내부 저격이 계파 문제라기보다 정치 재개를 위한 신호탄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 재개의 명분을 강조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것이다.
한 지도부 의원은 “추 전 장관은 자신이 법무부 장관에서 물러나지 않았다면 검찰개혁을 완수할 수 있었고, 윤석열 총장이 대통령이 되지도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며 “못 다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정치를 다시 할 것이라는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발언”이라고 해석했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