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종합 보고서가 발표된 것과 관련해 여야가 5일 국회에서 일제히 의원총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각각 의총을 열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IAEA 종합보고서 내용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입장과 대응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여야는 전날 IAEA 종합보고서 발표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국민의힘 강민국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11개 국가의 원자력 분야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IAEA TF(태스크포스)가 거의 2년 동안 작업한 결과”라며 “국제사회의 중추 국가로서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대책위원회’는 입장문에서 “IAEA는 국제기구로서 후쿠시마 핵폐수 안전성 검증 책임을 사실상 방기했다”며 “(보고서는) 핵폐수 안전성을 검증하지 못한 ‘깡통’ 보고서”라고 비판했다.
앞서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전날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도쿄전력이 계획하고 평가한 바와 같이 오염수를 통제하고 점진적으로 바다에 방류할 경우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방사능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밝혔다.
IAEA는 해양 방류 방침을 정한 일본의 요청을 받고 2021년 7월 11개국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관련 검증을 진행해 온 결과, 포괄적인 평가를 담은 종합 보고서를 이날 발표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고 물을 희석하는 공정은 새롭지 않다”며 “일정한 양의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물을 방류하는 건 중국, 한국, 미국, 프랑스 등 많은 나라에서도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주변 국가의 우려에 대해선 “포괄적이고 중립적이며 과학적인 평가가 필요하고 그 점에서 자신 있다”며 “모든 사람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객관적인 답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