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4% “병원·감염취약시설 마스크 착용 유지, 동의”

입력 2023-07-04 16:51
코로나19 마스크. 이한결 기자.

코로나19 감염병 위기단계 하향으로 확진자 격리 의무가 해제됐지만 여전히 국민의 절반 이상은 의심 증상이 있으면 자발적으로 격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이 지난달 23일~26일 전문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와 함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에 관한 인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1일 위기단계 하향 이후 코로나19 의심증상 또는 호흡기 감염 증상 경험한 사람은 135명이었다.

이들 중 41.5%는 병·의원에서, 25.9%는 자가키트로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고 답했다. 32.6%는 코로나 검사를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코로나19에 어떻게 대처했는지 묻자 51.1%는 자발적으로 격리했다고 답했다. 자발적으로 격리를 하지 않은 사람은 29.6%, 학교·회사 등의 권고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격리한 사람은 9.6%였다. 격리하고 싶어도 격리를 하지 못한 사람은 5.6%였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과 입소형 감염 취약시설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대해 응답자의 84.4%는 동의한다고 밝혔다. 13.5%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1%였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과 입소형 감염 취약시설의 마스크 의무화 조치에 대해서는 과반수인 55.8%가 ‘당분간은 유지하되 안정적인 상황일 때 해제해야 한다’고 답했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종사자의 54.8%도 같은 답변을 했다.

응답자 대부분은 코로나19 신규 확진과 사망자 감염 현황 정보에 대해 주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5.4%로 ‘주목한다’는 응답 44.3%보다 높았다. 60대 이상 고연령층, 저소득층, 자녀가 있는 그룹에서는 주목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유 교수는 “조사 결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소형 감염 취약시설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를 유지한 것에 대해 응답자 전체의 84.4%가 동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이런 결과를 고려하여 감염 취약시설 마스크 의무화 유지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는 등 감염 예방 조치의 현실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민주 기자 lal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