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과 ‘세이프 포럼 2023’을 열고 인공지능(AI)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위한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략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설계 지원 키트(PDK)의 사용 편의성을 강화해 효율적으로 제품 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PDK 프라임’ 솔루션을 올해 하반기부터 2나노, 3나노 공정의 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에 제공한다. 향후 8인치와 12인치 레거시(Legacy) 공정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포럼에는 파트너사 100여곳이 참여했다. LX세미콘, 리벨리온, 딥엑스 등의 국내 주요 팹리스가 세션 발표자로 나서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정을 통해 AI·저전력 반도체를 개발한 성과를 소개했다.
국내 최대 팹리스인 LX세미콘의 고대협 연구소장은 “대형화, 고해상도·고화질·고주사율을 요구하는 동시에 전력 소모량이 적은 제품을 찾는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삼성전자 파운드리와 8인치 협력을 강화하고 향후 12인치까지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최첨단 MPW 서비스 현황과 계획, 국내외 시스템 반도체 연구·개발 생태계 강화 방안을 공개했다. MPW는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파운드리 형태다. 1장의 웨이퍼에 다른 종류의 반도체 제품을 함께 생산하는 방식이다.
삼성전자는 AI, 고성능 컴퓨팅, 모바일 제품 설계에 활용 가능한 첨단 4나노 공정의 MPW 서비스를 지난 4월 처음 시작했다. 다음 달과 12월에 걸쳐 올해 세 차례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국내외 대학과의 연구·개발 협력을 확대하고, 시스템 반도체 설계 역량 강화에도 나선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1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반도체설계교육센터(IDEC)에 28나노 로직 공정 MPW 서비스를 무상 제공하고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