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기업 50% 이상 고객사에게 ESG·RE100 요구받아

입력 2023-07-04 09:26
RE100 가입 목적과. 고객사의 ESG 또는 RE100 요구사항. 경기도 제공

경기도 기업의 절반 이상이 고객사로부터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고려한 기업성과지표) 또는 RE100(기업활동에 필요한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 전기로 사용)를 요구받는 등 기업활동에서 기후위기 대응이 중요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RE100 이행지원을 위한 경기도 역할과 기업의 수요 파악을 위해 올해 1월 19일부터 2월 28일까지 경기도 소재 RE100 관련 기업 44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 응답 기업 44개 사는 규모별로는 대기업 28곳, 중견·중소기업 16곳이다.

이들 응답 기업의 52.3%인 23곳은 고객사로부터 ESG 또는 RE100 요구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사의 요구사항으로는 온실가스 배출 관련 데이터 제출(40%), RE100 이행 및 증빙(32%), 제품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전 과정(26%) 등의 순이다.

RE100에 대한 준비를 보면 중소·중견기업의 81.3%가 준비 부족(10곳)이거나 전혀 준비되지 않았다(3곳)고 답했다. 대기업도 64%(18곳)가 준비 부족이라고 전했다.

RE100 이행의 장애요인과 RE100 이행을 위해 시급한 사항. 경기도 제공

가장 시급한 사항으로 재생에너지 물량 확보(23.5%), 재생에너지 투자 및 구매를 위한 추가 재원 확보(21.2%), RE100 이행 수단에 대한 정보(17.6%) 등을 언급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의 73%(32곳)는 공장을 신축하거나 이전할 때 RE100 이행환경이 입지 선정에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98%(43곳)는 RE100 이행에 있어 지자체의 도움이 필요하며 ‘재생에너지 부지발굴 및 공급’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언급했다. 기업의 79.5%(35곳)가 RE100을 위한 기업과 지자체 간 협의체 구성 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표했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RE100 기업의 수요에 초점을 맞춘 RE100 특구 조성, 부지발굴 및 제도개선, 기초지자체와의 협력 강화, 펀드 조성, 주민 이익공유형 사업 등 지역 주도 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재생에너지 조달 비용을 낮추고, RE100 컨트롤타워를 설치해 재생에너지 공급 규모와 속도를 높일 것을 제안했다.

고재경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연구실장은 “RE100은 온실가스 감축이나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관점에서 벗어나 기업 경쟁력 확보 및 지역 경제를 지키는 전략으로 틀을 전환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RE100은 민간 주도의 투자를 기반으로 하지만 부지발굴, 주민 수용성, 인허가, 규제와 같은 재생에너지 공급 제약요인을 해소하고 기업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선도적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