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도민들의 원정 진료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준비한다.
도는 학계, 의료계, 도의회, 시민단체 등 분야별 전문가로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이달 13일 첫 회의를 열어 심사 기준 충족을 위한 준비 작업을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상급종합병원은 중증질환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종합병원이다. 보건복지부가 3년 주기로 지정하며, 현재 전국에 42곳이 있다.
제주는 상급종합병원이 없는 지역이다. 입원 치료 환자의 15% 이상이 도외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
지난해 제주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이 작성한 ‘제주도 종합병원 진료 인프라 현황 분석’에서는 2021년 전체 입원 치료 환자의 16.5%인 1만6109명이 도외로 원정 진료를 간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이들이 도외 병원에 지출한 의료비는 1080억원으로 전체 도민 의료비의 25.4%에 달했다.
환자와 보호자가 부담하는 항공료와 숙박비 등 부대 비용도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동안 제주는 서울권 병원과 경쟁해야 하는 심사 권역 문제로 상급종합병원 지정 신청을 한 번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도내 의료복지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이어지면서 제주권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한 첫 움직임에 착수했다.
도는 제주가 단독권역으로 분리해 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전문진료 비율 확보, 입원전담전문의 채용 등 주요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해 대책을 마련한다.
보건복지부도 내년 진료권역 분리 타당성 검토 용역을 시행하기로 한 상태다.
강동원 제주도 도민안전건강실장은 “제주에는 상급종합병원이 없어 도민들의 부담과 불편이 상당하다”며 “제주권 상급종합병원 지정이 대통령과 도지사의 핵심 공약인 만큼 지정 준비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