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호법 위헌이니 면허취소를 취소해 달라” 소송…“기각”

입력 2023-07-03 10:14

거듭된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된 운전자가 헌법재판소의 ‘윤창호법 위헌 결정’을 내세워 불복 소송을 냈지만 법원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7단독 정우용 판사는 A씨가 서울경찰청장을 상대로 “자동차 운전면허 취소처분을 취소 해 달라”며 낸 행정소송을 최근 원고 패소 판결했다.

A씨는 지난해 9월 부천시에서 면허 정지 수준인 혈중알코올농도 0.038% 상태로 차를 몰다가 경찰에 적발됐다.

A씨는 2003년 12월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정지된 전력이 있었다. 경찰은 A씨의 면허를 취소했다.

도로교통법 조항은 음주운전 금지 규정을 위반한 사람이 다시 같은 규정을 위반해 운전면허 정지 사유에 해당하면 면허를 취소하도록 한다.

A씨는 이에 불복해 행정심판을 청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행정 소송에 나섰다.

그는 음주운전 전력은 오래전 일이고, 2021년 11월 헌법재판소가 이른바 ‘윤창호법’으로 불리는 도로교통법 제148조의2 제1항에 대해 위헌 결정한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조항은 음주운전이나 측정 거부를 반복한 운전자를 가중처벌 하는 내용이다. 헌재는 해당 조항에 대해 “책임과 형벌 사이 비례성을 인정할 수 없다”며 위헌 결정했다.

하지만 정 판사는 “헌법재판소 결정은 형사처벌에 관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정 판사는 “헌재 결정 취지만으로 면허취소 처분 근거가 되는 법률이 위헌이라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정 판사는 이어 “도로교통법 부칙은 위반 횟수를 정할 때 2001년 6월 30일 이후 행위부터 산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며 “A씨의 과거 음주운전 경력이 다소 오래됐다고 해도 면허취소 관련 조항이 적용된다”고 판결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