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과거 법무부 장관직에서 물러난 배경을 두고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저에게 물러나 달라고 했다”고 밝혔다.
추 전 장관은 30일 유튜브 채널 ‘오마이TV’에 출연해 장관직 사퇴 배경에 대해 “저도 진실을 말할 수 없는 것이 답답했다”며 이같이 답했다.
당시 상황에 대해 “(당시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을 통해 연락받았다. 중간에 농간이 있다고 생각했다”며 “날 자르려면 국무총리를 통해 해임 건의를 해주면 좋겠다, 자의로 물러나지 않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추 전 장관은 사퇴 권고를 받은 날 문 전 대통령을 만나 직접 의견을 피력했다고도 밝혔다. 추 전 장관은 “절 유임시켜야 수습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서 갔다. 결론은 똑같았다. 허무한 결론”이라고 밝혔다. 이어 유임 주장을 펼쳤지만 “당에서 요구한다, 재보궐 선거를 치러야 하니 검찰 이슈가 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검찰 국가의 탄생’이라는 표현을 썼다. 추 전 장관은 “검찰총장은 ‘내가 가는 길에 쾌도난마처럼 달리는 것만 남았지 어떤 장애물도 없다’고 생각할 것 아니겠나”라며 “검찰 국가의 탄생을 아무도 못 막는다. 촛불 국민에 대한 역모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이라고도 언급했다.
이어 “제가 무슨 장관 자리에 연연해 하고, 그거 천년만년 할 것도 아니고 한데, 어차피 하루 더 해도 고생이다. 엄청 힘들다. 온 가족이 고생이고 심리적, 제 아들이 당한 고통을 생각해보라. 그러니까 개인적인 이해관계가 아니라 이런 위험 지경을 보고 나를 자른다면 이 시그널이 뭐가 될까, 그 후폭풍이 너무 우려스러웠다”고 전했다.
‘대통령이 검찰총장도 곧 물러나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느냐’는 질문엔 “그 ‘핸들링’이 쉽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러니까 절망감을 느꼈던 것”이라고 답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지난 2020년 1월 2일 취임했던 추 전 장관은 재직 기간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석열 대통령과 거듭 충돌하며 이른바 ‘추·윤 갈등’을 빚어왔다. 그러다 취임 1년 만인 같은 해 12월 16일 문 대통령에게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 제청을 한 뒤 사의를 표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