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개통한 4세대 나이스(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와 관련해 학교 현장으로부터 5000건에 가까운 개선요구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학기 기말고사와 고3 학생부 기록이 진행되는 민감한 시기에 전산시스템 오류가 계속되면서 교사들 사이에서는 ‘4세대 나이스’가 아니라 ‘死세대 나이스’라는 자조 섞인 비판이 나온다.
2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세대 나이스 개통 이후 4729건의 사용자 개선요구가 교육당국에 접수됐다고 밝혔다.
영역별로는 일반행정과 교무업무가 각 1953건, 1741건으로 가장 많았다. 학교행정과 공통관리 영역 개선요구는 각 475건, 453건이었다.
하지만 이 가운데 27.7%(1312건)는 아직 조치가 완료되지 않은 ‘미처리건’으로 분류됐다. 특히 중간·기말고사 운영, 성적평가 등 학교의 주요 업무인 교무업무의 경우 30.7%(535건)가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조치가 완료된 것은 72.3%(3417건)였다.
대부분은 접속 지연이나 자동 로그아웃 같은 단순 오류지만, 다른 학교의 시험 문항정보표가 출력되는 사례도 발견돼 논란이 있었다. 문항정보표는 지필고사 문항별 성취기준·정답·배점 등을 기록한 문서다.
이에 교육부는 지난 22일 문항정보표 출력기능을 중지하고 교육청과 학교에 기말고사 문항·정답 배치 변경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이 오류로 여러 학교에서 기말고사를 연기하는 등 혼란을 겪었다.
개통과 동시에 시스템 오류로 인한 학교 현장의 혼란이 가중되자 교사들 사이에서는 ‘死세대 나이스’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전날 국회 교육위원회에 출석해 “학교 현장에 혼란을 끼쳐드린 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책임감으로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학교 현장은 대통령의 대학수학능력시험 발언에 이어 4세대 나이스 먹통 사태로 대혼란에 빠졌다”며 “교육부는 이러한 상황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