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제3판교테크노밸리에 시스템반도체 경쟁력 확보를 위한 팹리스 집적단지를 조성해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인 추진에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27일 용인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용인 국가산단 성공 추진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우리나라 시스템반도체에서 부족한 부분이 팹리스다. 경기도가 제3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팹리스 집적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라며 “그렇게 되면 시스템반도체의 경쟁력 확보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방식은 팹리스와 관련된 벤처나 스타트업 기업 유치를 통해서다. 아울러 경기도 여러 곳에서 이런 팹리스 및 전후방 산업 집적단지가 만들겠다는 각오다.
국내 팹리스 기업 144곳 중 절반이 넘는 51%가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3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팹리스 산업을 집중 유치하면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시너지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지사는 인력 양성도 적극 지원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인력 양성은 반도체 투자 관련해서 가장 중요하고 힘든 부분”이라며 “경기도가 여러 가지 대학과 또 공공기관, 산학과 같이하는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인력 조달에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김 지사는 제3차 범정부 추진지원단 회의에 참석해 용인시, 산업통상자원부·환경부·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지원전략을 논의했다.
회의 이후에는 국토교통부, 용인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삼성전자와 ‘용인 국가산단 성공 추진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신속한 예비타당성조사와 수요 맞춤 산단 조성에 노력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3월 용인시 처인구 남사·이동읍 710만㎡ 부지를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오는 2042년까지 300조원을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이곳에 구축할 계획이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