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진흥공사와 해양수산부는 27일 서울 켄싱턴 호텔 그랜드스테이션 홀에서 1조원 규모의 ‘해운산업 위기 대응 펀드’ 출범을 공식화했다. 또 선·화주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폭등했던 글로벌 해상 운임이 지난해부터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강화하는 국제 해운 탈탄소 규제와 해운기업의 환경‧사회‧투명경영(ESG)에 대한 요구, 선박공급 증가, 교역규모 정체 등은 국적선사에 경영상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공사와 해양수산부는 최대 1조원 규모의 위기 대응 펀드를 조성해 국적선사의 경영 안전판을 마련하기로 했다.
위기 대응 펀드는 해운산업 구조조정 지원 펀드와 국적선사 ESG 지원 펀드로 구성된다. 펀드는 각각 2500억원씩 5000억원 규모로 출범한 뒤 앞으로 수요에 따라 최대 1조원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펀드가 조성되면 국적선사에 부여된 t세제 적용 혜택과 HMM 구조조정을 위한 공적자금 지원의 성과가 중소·중견 선사의 경쟁력 강화에 다시 투입되는 해운산업의 자생적 성장 생태계가 구축될 것으로 공사는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펀드 출범을 계기로 선·화주 간 상생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협약에는 한국해운협회와 포스코플로우, 현대글로비스 등이 업계를 대표해 참여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운산업 위기 대응 펀드가 격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우리 해운산업의 든든한 안전판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적인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며 “국적선사와 투자기관, 화주 기업의 많은 관심과 투자 참여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