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터널 통행료 면제하니 도심 운행속도 최대 13.5% 감소…서울시 고심

입력 2023-06-27 14:36

서울시가 1996년부터 시행된 남산 터널 혼잡통행료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두 달간 통행료 징수를 중지한 결과 차량 운행 급증으로 도심 도로의 통행 속도가 최대 13.5%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전문가와의 깊이 있는 논의를 통해 연말까지 폐지 여부를 결정짓기로 했다.

서울시는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를 지난 3월17~4월15일 강남(외곽) 방향, 4월17~5월16일 양방향 모두 징수를 중지한 결과 직접영향권 도심 도로인 삼일대로·소공로 도심 방향에서 각각 9.4%, 13.5% 운행속도가 감소했다고 27일 밝혔다. 두 도로의 강남 방향도 10.2%, 4.9% 각각 감소했다. 을지로·퇴계로·남대문로 등 대부분 주요 도로에서도 5~7.6% 속도가 줄어들었다.

이처럼 도심 운행속도가 줄어든 것은 통행료 면제로 터널 이용 차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평시 통행료 징수시간대 통행량은 7만5619대였지만 1단계 면제 시 7만9550대로 5.2%, 2단계 면제 시 8만5363대로 12.9%나 이용 차량이 증가했다. 면제 기간이 끝나고 통행료를 재징수하자 이용 차량수는 면제 전과 유사한 7만5270대로 다시 감소했다.


반면 남산 터널 우회도로인 장충단로와 소파길 통행량은 시행 전 하루 26만7439대에서 1단계 26만944대, 2단계 25만6844대로 각각 2.4%, 4.0% 감소했다.

시 관계자는 “통행료를 면제하자 남산 1·3호 터널을 통해 도심으로 진입한 차량이 늘어나며 을지로, 퇴계로 등 도심권 혼잡에 영향을 미쳤다”며 “반면 강남 방향은 교통량이 증가하더라도 12차로 한남대교와 강변북로 등으로 분산돼 상대적으로 교통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고 분석했다.

통행료는 도심 진입 차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한가한 외곽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차에도 부과되면서 그동안 일부 불만이 제기됐었다. 또 통행료 자체도 2000원에 불과해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 있었다. 시는 이번 결과를 토대로 서울연구원 등 전문가들과 논의하는 한편 시민 목소리도 반영해 12월까지 통행료 정책을 결정할 방침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