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민 2명 중 1명 정도가 광주 군공항 이전지로 전남 무안이 적합하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군공항 이전 지자체에 종전보다 2배 이상 많은 1조원의 획기적 재정 지원을 약속해 지자체 간 이전 논의에 불을 댕겼다.
27일 뉴시스 광주·전남본부와 무등일보, 광주MBC가 공동으로 벌인 ‘지역 현안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광주 군공항 이전지를 묻는 설문에 전체 응답자 46.1%가 무안을 첫손에 꼽았다. 절반 가까운 비율이다.
3개 언론사가 민선 8기 1주년을 앞두고 실시한 이번 여론조사에서 광주시민 54.3%, 전남도민 39.8%가 무안 이전이 적합하다고 답했다.
광주시민의 무안 선호도가 전남도민보다 더 높았다. 두 지역 합산 46.1%로 국제공항이 위치한 무안이 압도적 1순위를 자치했다.
광주시민은 2순위로 함평(16.8%), 3순위로 해남(7.0%), 4순위로 고흥(2.7%)이 적합하다고 응답했다. 전남도민은 2순위로 고흥(15.1%), 3순위로 함평(9.8%), 4순위로 해남(7.3%)을 선택했다.
모름 또는 무응답은 광주시민 14.8%, 전남도민 21.4%로 두 광역단체 간 선호지역과 관심도가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
여론조사는 전문기관 코리아리서치가 지난 23~24일 광주·전남지역 만 18세 이상 남녀 1604명(광주 802명, 전남 802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휴대전화 안심번호를 무작위 추출해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한 여론조사 응답률은 광주가 14.6%(5501명 중 802명), 전남이 12%(6664명 중 802명)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p다.
군 공항 이전과 관련, 강기정 광주시장은 26일 기자회견을 열고 유치지역에 1조원의 재정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강 시장은 이날 “군공항 유치지역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기존 4508억원에 시 재원을 더한 1조원을 조성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기존 부지를 개발해 예산을 마련하는 ‘기부대양여’ 방식을 통해 충당하기로 한 지원금에 시 재정 5500여억원을 추가해 1조원 규모의 ‘통 큰 지원’을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 군공항 이전지역으로 거론되는 무안, 함평뿐 아니라 전남지역 다른 지자체가 재정지원을 통한 지역발전을 위해 향후 유치의향서를 제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강 시장은 군공항 유치의향서 제출시점부터 햇빛(태양광) 연금, 스포츠아카데미(골프 등 스포츠 인재양성기관), 항공 정비(MRO) 산단, 국제학교 등 지역 맞춤형 사업을 전남도, 중앙 부처와 협의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유치지역이 확정되면 관련 내용을 군공항 이전 특별법에 명시하고, 가구 개인별 이주 정착 특별지원금도 지급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공공주택을 포함한 이주 단지, 영외 관사, 거주 시설 등을 집적한 신도시가 들어서도록 지원하고 연간 5000여 명이 교육을 받는 광주시공무원교육원을 유치지역에 신축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