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과 정부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냉방비 지원액을 약 2400만원씩 추가 지급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27일 서울 여의도 윤중초등학교에서 열린 ‘여름철 냉방비 지원대책’ 당정 협의회 후 브리핑에서 “현재 편성된 학교당 평균 전기요금이 5255만원인데, 이를 학교당 7650만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찜통 교실’ 없는 환경이 구축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당정은 이와 함께 학교 냉방시설 작동 여부를 사전 점검하고, 노후 냉방시설을 교체할 수 있도록 약 5300억원을 시도 교육청에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에너지 취약계층에 대해 전기요금 인상분 적용을 유예한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에너지 바우처 지원 대상은 113만5000가구로 확대하고, 지원 금액도 각 4만3000원으로 늘린다.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보급하는 고효율 에너지 기기 대수도 기존 계획보다 1500대를 추가해 총 1만5000대를 보급한다.
당정은 오는 7∼8월 어르신·아동 등 사회적 약자가 이용하는 사회복지시설에 최대 50만원의 냉방비를 추가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같은 기간 전기요금 누진 구간 상한을 높여서 일반 서민과 중산층 요금부담을 약 20%까지 낮출 것이라고 당정은 설명했다.
최근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전기 사용 절약 ‘에너지 캐시백 인센티브’는 7월부터 확대한다.
박 의장은 “오늘 기준으로 캐시백 신규 가입자가 신청 3주 만에 45만 세대를 넘어섰다”며 “4인 가족 기준으로 작년보다 10% 전기 사용을 절감하면 kWh당 3440원, 20%를 절감하면 8600원, 30%를 절감하면 1만2900원을 추가로 돌려받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