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용병기업 바그너 그룹의 반란 사태가 시진핑 국가주석을 비롯한 중국 지도부를 불안하게 했을 것이라고 미 당국자가 평가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반란 사태 이후 리더십을 회복하지 못하면 중국의 고립이 심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커드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은 26일(현지시간)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주최 대담에서 러시아 반란 사태가 중·러 관계에 미칠 영향과 관련한 질문에 “러시아의 최근 상황 전개는 중국 지도부를 불안하게 만들었다고 보는 게 타당할 것 같다”고 말했다. 캠벨 조정관은 이번 사태가 중국에 미칠 영향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지난 25일 대변인 명의 입장문을 통해 “(이번 사태는) 러시아의 내정”이라며 “중국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러시아가 국가의 안정을 수호하고 발전과 번영을 실현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로 러시아의 권력 구도에 변화가 오는 것을 중국이 경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존 컬버 애틀랜틱 카운슬 선임연구원은 “중국은 푸틴이 미국 힘을 무디게 하는 데 중요한 동맹국으로 남기를 바라는 전략적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며 “시 주석과 중국으로서는 러시아 내부의 혼란이 더 큰 고립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도 “시 주석은 중국이 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안 유럽에서 미국의 힘에 도전할 수 있는 우호적이고 상대적으로 강한 러시아가 필요하다”며 “내홍에 빠진 러시아는 (중국이) 많은 것을 잃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의 불안은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 등 중국 뒷마당에 있는 구소련 국가 간의 갈등 위협을 높인다”며 “러시아의 불안은 중국에 극심한 전략적 골칫거리”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위기는 시 주석에 불확실성의 순간을 의미한다”며 “그는 러시아와의 유대를 미국 영향력 저지의 보루로 삼았다”고 지적했다. 티무르 우마로프 카네기 러시아 유라시아센터 연구원도 “(무장 반란은) 중국이 우려했던 비관적 시나리오”라고 언급했다.
중국 특파원을 지낸 칼럼니스트 마이클 슈만은 애틀랜틱 기고문에서 “푸틴은 외교적 지원이나 무역 등에 대한 대중 의존도를 심화하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거의 없고, 시 주석은 대만 침공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내 정치적 취약성에 대한 경고를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