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쇄신 작업에 본격 시동을 건 ‘김은경 혁신위원회’가 내년 총선 공천룰 손질과 이재명 대표 체제 1년에 대한 평가에 나설지에 당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 둘 다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뜨거운 감자’이기 때문이다.
친명계에서는 공천룰을 손봐 현역 의원의 기득권을 쳐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친명계 핵심 의원은 2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공천·경선에서 현역 의원 기득권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도 지난 20일 혁신위 첫 회의에서 이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공천 과정에서 현역 의원으로 대표되는 기득권 체제를 혁파하고, 참신·유능한 인재를 기용하는 공정·투명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당 일각에선 현역 의원 평가를 통해 하위 20%를 공천 배제시켰던 2015년 ‘김상곤 혁신위’의 혁신안에 준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그러나 비명계는 공천룰 변경이 ‘공천 학살’의 도구가 될 수 있다며 우려하는 분위기다.
수도권의 한 비명계 의원은 “결국 개딸(이 대표 강성 지지층) 앞세워서 수박(겉은 민주당, 속은 국민의힘이라는 뜻의 은어) 쳐내기 하자는 것”이라며 “혁신위가 공천룰을 건드리면 당내를 시끄럽게만 하고 아무것도 못 바꿀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명계가 요구하는 이 대표 체제 평가 문제도 갈등의 뇌관이다. 비명계 한 중진 의원은 “뭘 혁신해야 하는지 파악하기 위해선 이 대표 평가가 우선”이라며 “정기국회 전에는 이 대표 거취 문제를 결론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명계 재선 의원은 “지도부에도 기득권이 있다”며 “중앙위가 당무위, 최고위, 궁극적으로 대표에게 권한을 위임하는 구조 자체를 바꿔야 혁신”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수도권의 한 친명계 의원은 “당내 올드보이들은 현 공천룰이 본인들에게 유리하다는 걸 알고 있다”며 “혁신의 대상이면서도 혁신의 칼날을 피하려고 자꾸 이 대표를 들먹이는 것 아니냐”고 발끈했다.
이동환 박장군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