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수능 ‘킬러 문항’ 배제 발언이 수험생과 학부모들에게 혼란을 일으킨 것과 관련해 “선무당이 사람 잡았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23일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이 입시 비리를 수사했다고 전문가가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킬러 문항에 대해서 툭 던져놓고 지금은 그 뱉어놓은 말을 어떻게든 합리화시키고 정당화시키려다 보니 문제를 키워서 이제는 ‘사교육 카르텔’이라는 말까지 나왔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는 수능 날 비행기도 안 뜨는 나라이고, 모든 국민이 이 문제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40만 수험생, 또 그에 딸린 가족들이 지금 롤러코스터를 탄 심정일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 일각에서 ‘86그룹(60년대생·80년대 학번) 운동권’이 사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게 문제’라고 주장하는 것과 관련해선 “86 운동권들이 징역 갔다 온 뒤에 먹고 살 방법이 없어서 학원으로 많이들 갔다”며 일부 인정했다. 다만 “그런데 그 사람들이 이제 60대 할아버지가 됐다. 학원 강사는 40만 넘어도 은퇴할 나이 아니겠냐”면서 “30년 전 이야기를 갖다가 끌어대는 건 너무 억측”이라고 반박했다.
또 “지금 윤석열 대통령이 평생 검사만 해와서 사람을 피의자 아니면 피고인으로 보는 시각으로 사교육, 입시 카르텔을 이야기하고 있는 게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윤석열 정부가 오락가락 교육정책으로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며 “성급하게 교육정책을 쏟아내지 말고 신중하게 방향부터 잡으라”고 비판했다. 이어 “사교육 부담을 줄이자는 목표는 좋다. 그러나 목표만 좋고 달성하려는 수단, 정책 발표 방식이나 시기 등은 혼란만 초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킬러 문항을 없애도 시험 난이도는 올리지 않으면 과목별 만점자가 많이 나와서 한 문항만 틀려도 2등급, 3등급이 될 수도 있다”며 “킬러 문항을 없애려면 이런 수능 석차 등급 문제에 대한 대책도 함께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