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00조 이상 투자유치를 위해 경제주체들이 다 함께 힘을 합쳤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21일 판교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향후 민간 투자유치 100조 이상 달성을 위한 경기도의 실천 전략을 논의하는 ‘투자유치 100조+(플러스) 전략회의’에서 “투자빙하기 속에서도 민선8기 임기 내 100조 이상 투자유치를 위해서 지난 1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며 이같이 밝혔다.
민선8기 ‘김동연호’ 경기도는 글로벌기업 유치 약 30조원, 연구개발(R&D) 및 클러스터 유치 약 58조원, 테크노밸리 등 조성 유치 약 37조원 등 총 125조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겠다는 목표다.
이번 전략회의는 100조원 이상의 투자유치를 달성하기 위한 경기도 각 실국과 공공기관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미래 투자유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투자유치 사업이 투자와 교류, 경제담당 부서의 주요 역할이었다면 앞으로는 경기도청 소속 모든 실국과 공공기관의 주요 업무가 투자유치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주택실과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사업 구상 단계부터 투자유치를 염두에 두고 개발계획을 진행하게 되며, 산업단지·테크노밸리·공업지역 조성 후에는 경제투자실과 미래성장산업국은 물론 관련 산업 육성 및 지원 부서, 유관 공공기관 등이 모두 참여해 복합클러스터를 유치하는 방식이다.
도는 이번 투자유치 전략회의에서 나온 각계의 건의 사항을 수렴해 100조+ 투자유치 추진 계획을 보완해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민선8기 출범 1년 만에 외자에서만 약 10조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위~4위 반도체 장비 기업(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 에이에스엠엘, 램리서치, 도쿄 일렉트론)의 미래기술 연구소를 모두 경기도 내에 유치하고, 반도체 공급망 안정을 위한 유수 기업(온세미, 린데 등)을 유치하는 등 도내 반도체 메가 벨트 마련을 위한 기반을 닦아 왔다.
김동연 지사는 “앞으로 남은 임기 중에 최소한 100조 이상, 가능하면 더 많은 투자유치를 통해 경제 활성화를 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고른 기회나 더 나은 기회를 위한 인프라를 깔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