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인공지능(AI)에 전력투구를 한다. 오는 2025년까지 인공지능(AI) 사업에서 연매출 1조300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또 2027년까지 약 7조원을 AI 사업에 투자할 방침이다. 대표 직무대행 체제에서도 AI 시대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청사진을 과감히 공개했다.
KT는 21일 서울 중구 노보텔 앰배서더 동대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ICC(인공지능 컨택센터), AI 물류, 로봇·케어·교육으로 AI 서비스를 확대하는 사업 전략을 밝혔다.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부사장)은 “AICC 누적 수주액은 4600억원, AI 물류는 3500억원을 기록했다”면서 “오는 2025년 AI 분야별 매출은 AICC 3500억원, 물류 5000억원, 로봇 2000억원, 교육 2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헬스케어는 500억원 정도가 목표”라고 설명했다.
AI 투자는 기술, 인프라, 서비스라는 3개 영역으로 나눠 진행한다. 올해 하반기 출시할 초거대 AI ‘믿음’과 관련한 원천기술 확보 및 개선에 4조원을 쏟아붓는다. AI 사업 인프라 고도화에 2조원, 신사업 발굴에 1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KT는 AI 로봇·케어·교육 사업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송 부사장은 “사회 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주면서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분야”라고 강조했다. KT는 강점인 ‘딜리버리 체계’ ‘로봇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 로봇의 보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딜리버리 체계는 고객 수요에 맞춘 로봇 및 솔루션의 도입·컨설팅·사후 관리까지 지원하는 걸 뜻한다. 플랫폼 가운데 AI 통합관제는 수천대의 로봇에서 초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해 하루 6000만건을 분석한다. 다른 기종의 로봇들을 같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 등도 차별점이다. 로봇 라인업은 서빙·방역·실내 배송 로봇에서 실외 배송·공장용 물류·농업용으로 늘릴 예정이다.
AI 케어의 경우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원격케어 서비스를 선보인다. 간호사·영양사 등으로 구성된 ‘케어 코디네이터’가 AI로 만성질환자 데이터를 분석하고 ‘케어플랜’을 제공한다. AI 교육 분야에선 교사와 학생이 모두 이용 가능한 ‘AI 미래교육 플랫폼’을 내놓는다. 이 플랫폼은 올해 2학기 경기도교육청과 함께 현장에 적용한다. EBS와 협력해 공교육 컨텐츠도 개발한다.
AI 서비스에는 KT에서 보유한 초거대 AI, 반도체, 클라우드 등의 관련 인프라를 적용한다. 송 부사장은 “AI는 기업 운명을 좌우할 뿐 아니라, 대한민국 경쟁력에도 중요해졌다”며 “국가 경쟁력을 향상하는 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