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국가지질공원 인증과 세계지질공원 지정 확대를 적극 추진한다.
경북도는 지질공원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의성군 전역이 도내 4번째이자 전국 15번째 환경부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됐다고 21일 밝혔다.
지질공원은 세계유산, 생물권보전지역과 함께 자연분야 3대 유네스코 보호프로그램 중 하나이며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세계지질공원’과 환경부가 인증하는 ‘국가지질공원’이 있다.
이번에 인증된 의성 국가지질공원은 국내 최대 백악기 퇴적분지인 경상분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1174.68㎢를 공원구역으로 가지며 금성산, 제오리 공룡발자국, 의성 스트로마톨라이트 등 학술적 가치가 높은 지질명소 12곳이 포함된다.
문경시는 삼엽충 화석산지와 문경새재 등 국제적·국가적으로 가치 있는 지질과 역사·문화유산이 풍부해 국가지질공원으로서 여건이 충분한 것으로 평가돼 ‘국가지질공원 후보지’로 선정됐다.
또 경북 동해안 일대의 해안과 일부 낙동정맥을 포함하는 2261㎢의 면적을 갖는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은 고생대부터 신생대 제3기 동아시아 화성활동과 지질특성을 규명하는데 최적지로 평가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에 도전한다.
경북도는 이달 말까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로 ‘경북 동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신청’ 의향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준비를 거친 뒤 올 11월까지 유네스코에 세계지질공원 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4월까지 유네스코의 서류평가를 거친 뒤, 5월부터 8월중에 5일간의 현장평가를 받게 된다.
9월에 유네스코 지질공원위원회 심사로 지정여부에 대한 예비 결과가 발표된다.
최종 지정승인은 그 다음해인 2025년 5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봄 정기총회에서 집행이사회 의결로 결정된다.
2017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청송은 4년마다 받게 되는 재지정 평가를 코로나19로 2년 정도 연기된 지난해 9월에 받았다.
그 결과 지난 9일 유네스코로부터 재지정 승인을 통보받아 2024년 말까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자격을 유지하게 됐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경북도내 국가지질공원 인증과 세계지질공원 지정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질공원제도를 활용해 경북이 가진 천혜의 경관과 자연유산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 경북 도약의 기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