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 복원공사가 본격화된다. 오는 8월 500억여원을 들여 착공해 2025년 말까지 마무리한다.
1980년 당시 시민군 지휘본부로 사용된 옛 전남도청은 2015년 문을 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조성 과정에서 원래 모습을 대부분 잃었다.
문화체육관광부 한시 조직인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추진위원단(추진단)은 21일 “7월 말까지 시공업체를 선정하고 8월 초 착공식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추진단은 이를 위해 다음 달 옛 전남도청 별관에 있는 사무실을 5·18 당시 계엄군 헬기사격 현장인 금남로 ‘전일빌딩 245’로 옮긴다. 별관 역시 복원공사 주요 현장이기 때문이다.
추진단은 당초 255억원이던 사업비가 그동안 물가 상승, 감리비 인상, 타당성 재조사 결과, 전시 콘텐츠 추가 등을 반영한 505억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복원공사 윤곽도 구체화하고 있다. 옛 전남도청 본관·별관, 도청 회의실, 상무관, 경찰국 본관·별관 등 6개 동을 1980년 당시 모습으로 최대한 복원하는 게 원칙이다.
하지만 국립아시아문화전당(문화전당) 건립을 위해 일부 철거된 도청 별관과 경찰국 본관은 원형보존이 아닌 부분 복원을 할 계획이다.
도청 별관은 2013년 5~6월 전체 건물 54m 중 좌측 24m가 철거돼 현재 문화전당 출입구로 활용되고 있다. 추진단은 출입구는 손대지 않고 별관 3~4층만 복원한다.
낡은 경찰국 본관은 문화전당 건립공사 과정에서 덧댄 철골 구조물을 제거할 경우 안전성에 문제가 제기돼 기존 형태를 유지하기로 했다.
그동안 철거 여부를 두고 논란이 거듭된 대형 미디어월은 다른 위치로 옮긴다. 도청 본관과 경찰국 본관 사이에 들어선 방문자센터는 철거한다.
희생자가 안치됐던 상무관은 5·18 당시와 같은 바닥마감재 등을 사용해 역사성을 살린다.
110억원이 투입되는 전시 콘텐츠는 연말까지 세부 방안을 제시한다. 설치 용역업체를 선정한 뒤 당시 사진·영상을 기본으로 실물 전시와 다양한 가상현실로 5·18 당시 상황을 실감 나게 꾸며 보여주게 된다.
2025년 하반기 원형복원을 통해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올 옛 전남도청은 1980년 5월 27일 시민군이 탱크를 앞세운 채 진압작전에 나선 계엄군에 맞선 최후 항전지다. 10일간의 민주화 투쟁 과정에서는 시민군 지휘부가 주로 사용했다.
2005년 10월 전남도청이 전남 무안 남악 신도심으로 이전한 뒤 이곳에 문화전당이 들어서는 과정에서 원형이 크게 훼손됐다. 이후 2017년 제37주년 5·18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원형복원을 약속해 정부 차원의 복원공사가 진행 중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