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9일 ‘수능 난이도 논란’에 대해 “교육부 수장인 제 책임이고 국민께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이 ‘공정 수능’을 지시했지만, 교육부가 이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물수능’ 우려가 쏟아진 데 따른 것이다.
이 부총리는 이날 국회 교육위원회와 실무당정협의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은 일찍이 (수능 킬러 문항 등을) 지적하셨는데 교육부가 관성적으로 대응하며 근본적 해법 못 내놓은 것 같다”고 사과했다.
이 부총리는 회의에 앞서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문제를 낸다는 건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오래 있었음에도 교육부가 이를 해결하지 못해 방치한 점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또 “지난 정부가 방치한 사교육 문제, 특히 학생·학부모·교사가 모두 힘든 와중에 학원만 배를 불리는 작금의 상황에 대해 윤 대통령이 여러 차례 지적하셨음에도 신속하게 대책을 내놓지 못한 데 대해 교육부 수장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자신의 ‘경질론’에 대해서는 “그건 인사권자의 권한”이라며 “이번 계기로 최선을 다해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겠다. 장관부터 철저히 이 문제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답했다.
이 부총리는 그러면서 “윤석열정부 내 이 문제(공정수능)만큼은 확실히 해결하겠다는 걸 (교육부) 직원들에게 강조했다”며 “관성적으로 미진하게 대처해왔던 부분에 대해 교육부부터 철저히 반성한다”고 거듭 사과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수능 난이도 논란에 대해 총공세를 폈다.
국회 교육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영호 의원은 MBC라디오에서 “말장난”이라며 “(윤 대통령이) 미국에 방문했을 때 ‘바이든·날리면’ 논란이 연상된다”고 비판했다.
교육부의 ‘공교육 내 수능 출제’ 발표 이후 혼란이 벌어지자 대통령실이 “쉬운 수능·어려운 수능을 얘기한 것이 아니다. 공교육 교과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분야를 제외하라는 뜻”이라고 설명한 것을 비꼰 것이다.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KBS라디오에서 “선무당이 사람 잡듯 뭐 하나에 꽂히면 바로 대통령이 직접 이야기한다”며 “그러다 보니 대통령실이나 참모들, 관계 부처의 어처구니없는 변명과 해명, 수습으로 계속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