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윤석열 대통령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관련 발언은 ‘공정한 수능’에 대한 지시였다고 16일 밝혔다.
대통령의 발언은 이른바 ‘킬러문항’(억지로 꼬아서 만든 초고난도 문항)을 배제하라는 것이지, 수능 난도를 낮추라는 뜻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장 차관은 또 윤 대통령의 이같은 지시가 지난 6월 모의평가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았다며,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감사할 예정이라고 했다.
장 차관은 이날 오후 교육부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백브리핑에서 “3월부터 ‘공정한 수능’이라는 정책목표를 가졌다”며 “첫번째로 실현해보는 시험이 6월 모의평가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이런 기조가 온전하게 반영되지 않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대입담당 국장을) 인사 조처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수능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난도 조절을 한다는 목표 하에 문제를 굉장히 꼬아서 ‘킬러문항’ ‘교육과정 밖’이라는 이야기를 듣는다”고 지적했다.
총리실 등 정부합동기관은 총리실 산하 출연연구기관인 평가원이 대통령 지시를 제대로 이행했는지 감사할 예정이다.
감사대상과 기간, 방식 등은 조만간 구체화한다.
장 차관은 6월 모의평가에서 정확히 어떤 문항이 교육과정 밖으로 벗어났는지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다.
그는 “특정한 문제나 지문이 교육과정 외다, 아니다라고 단정적으로 판정내리기 어려울 것 같다”며 “중요한 지점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충분해 교육받을 수 있었던 범위에서 문제를 출제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하더라도 난도 조절이 가능하고, 어느 정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체감난도 부분도 고려하고 있는데 수험생들이 학교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나 여러 접할 수 있던 자료에서 문항이 나와도 어려운 문항을 출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