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명한 ‘천마’ 두글자… 北우주발사체 ‘천리마1형’ 서해서 인양

입력 2023-06-16 10:01
북한 우주발사체 ‘천리마-1형’의 잔해가 서해에서 인양되고 있다. 사진은 합동참모본부가 16일 공개한 발사체 잔해. 합동참모본부 제공

북한의 우주발사체 ‘천리마-1형’의 잔해가 발사 15일 만에 서해에서 인양됐다.

합동참모본부는 16일 “우리 군은 6월 15일 오후 8시50분 ‘북 주장 우주발사체’의 일부를 인양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인양된 물체는 추후 국방과학연구소 등 전문기관에서 정밀 분석할 예정”이라고 했다.

인양한 잔해는 3단 발사체의 2단부로 추정된다. 원통형 구조로 규모는 직경 2.5m, 길이 15m에 달한다. 표면에 ‘천마’라는 글자와 하늘을 나는 말의 모습을 형상화한 그림이 확인됐다.

발사체에 탑재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와 1·3단부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합참은 “우리 군은 추가 잔해물 탐색을 위한 작전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31일 평안북도 동창리에 있는 신규 발사장에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한 발사체 ‘천리마-1형’을 발사했다. 이 발사체는 2단 추진체 고장으로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200여㎞ 해상에 추락했다.

군은 당일 잔해물을 발견한 뒤 가라앉지 않도록 노란색 리프트백(Lift Bag)을 묶어뒀지만, 중량이 무거워 수심 75m 해저 지점까지 완전히 가라앉았다.

우리 군은 그간 수상구조함 통영함 등 여러 척의 함정을 투입해 인양작업을 벌여왔다. 먼저 2단부의 양 끝에 ‘ㄷ’자 모양의 강철 고리를 연결해 인양을 시도했지만, 접합 부위가 끊어지려고 하면서 중단됐다. 군은 ‘ㄷ’자 모양의 고리를 다시 설치하고, 심해 잠수 작업으로 파악한 새 관통구에 와이어를 설치해 잔해를 들어 올렸다.

이후 잔해를 수면 아래 10m까지 들어 올려 추가로 보강 와이어를 설치한 뒤 구조함의 크레인을 이용해 구조함의 갑판에 싣는 데 성공했다.

군은 잔해를 평택 2함대 사령부로 이송한 상태다. 천리마 1형의 전반적인 성능과 외국 부품 사용 여부, 기술 수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