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이태원 참사 당시 활용되지 못해 기관 간 공조에 차질을 빚었던 ‘재난안전통신망’이 15일 그룹 통화 기능에 일부 차질을 빚다 복구됐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후 12시15분쯤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 그룹통화에 문제가 생겼다가 오후 1시35분쯤 복구 조치됐다고 밝혔다. 행안부 관계자는 “현재 원인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지자체 등 기관이 재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국 단일의 무선 통신망이다. 이 통신망을 활용하면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도 유관기관 간 음성, 사진, 영상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행안부에 따르면 재난안전통신망과 연계된 경찰 무전망도 이날 일시적으로 먹통이 됐다가 복구됐다. 행안부는 오후 12시22분쯤 경찰 등에 “재난안전통신망 장애 안내”를 전파했다. 행안부는 “재난안전통신망(전국, 사용기관 전체) 그룹 통화에 문제가 있어 조치 중에 있다. 복구(정상운영) 될 때까지 112 등 기능에서는 폴리폰, 업무폰으로 대응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알렸다.
다만 소방당국은 재난안전통신망과 연계되지 않은 별도의 무전망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무전통신에 차질을 겪진 않았다.
재난안전통신망은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를 계기로 도입 논의가 시작됐다. 당시 경찰·소방·지하철공사 등이 서로 다른 무선통신망을 사용해 구조가 지연됐던 상황의 재발을 막기 위해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후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구축 계획이 수립됐고, 2018년부터 총 1조5000억원을 들여 구축하기 시작해 2021년 가동됐다.
그러나 지난 10·29 이태원 참사에서도 거의 활용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계기로 마련된 범정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세부 과제의 후속 조치에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내실화가 포함되기도 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