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시가 남북교류 활성화와 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한 ‘평화경제특구’ 지정을 위해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파주시는 최근 접경지역을 평화경제특별구역으로 지정하고 산업단지나 관광특구를 조성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한 평화경제특구법이 17년 만에 통과돼 파주시가 평화경제특구로 지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평화경제특구로 지정되면 인허가와 관련된 혜택으로 남북 경제협력에 관심 있는 해외기업들이 대거 유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개발 사업자들은 토지와 도로 시설에 대한 각종 지원과 세제 혜택을 받고 이를 바탕으로 재투자까지 확대되면서 천문학적인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시는 미래 먹거리 마련을 위한 평화경제특구 지정을 위해 타당성 조사 연구 용역을 수립하며 첨단산업클러스터, 국제평화클러스터, 친환경생태클러스터 등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했다.
앞서 국회와 경기도 공청회, 1만8000여명에 이르는 범시민 서명운동, 윤후덕·박정 등 지역구 국회의원과 함께하는 법안제정 설명회도 진행하는 등 평화경제특구 지정을 위한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평화경제특구로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구체적인 비전으로 북한과 인접한 지역에 산업단지와 연구개발단지, 관광단지와 평화 의료단지를 한곳에 모으겠다는 계획이다.
교육과 연구, 일자리와 산업을 담아내 경제와 일자리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략으로, 기존 제조업체들은 물론 산업기술과 의료서비스 등을 접목한 미래 성장 동력의 선제적인 확보를 위해 산업체 선도기업, 강소벤처기업, 친환경산업체들을 집중적으로 유치할 방침이다.
또한 시는 통일동산과 헤이리 예술마을을 아우르는 12시간 체류형 관광지를 조성해 파주시만의 문화와 관광 콘텐츠로 평화경제특구의 파급효과를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경기북부 최초로 국립박물관인 ‘국립민속박물관 개방형 수장고’가 있는 파주시는 ‘문화·역사 클러스터’도 전국 지자체 처음으로 추진한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평화경제특구법이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전국에서 파주시에 거는 기대가 크다”며 “파주시만의 평화 콘텐츠로 관광과 문화를 널리 알려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경기연구원은 경기북부 지역에 약 330만㎡ 규모의 평화경제특구가 조성되면 전국적으로 약 9조원의 생산 유발효과와 7만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 됐다.
파주=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