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교육계가 성 비위로 얼룩지고 있다. 교육 공무원이 불미스러운 성추행 등에 잇따라 연루돼 공직기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13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직속 산하기관장 A씨(4급)가 주로 여직원들에게 갑질과 성추행을 했다는 진정이 제기됐다.
시교육청은 감사실 조사 결과 진정내용이 구체적 사실로 일부 확인된 A씨를 직위해제하고 조만간 징계위원회를 열어 징계 절차를 밟는다는 방침이다.
감사실이 중징계를 요청한 A씨의 성추행은 지난 3∼4월 집중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퇴근 시간 이후 “저녁 식사를 같이하자”며 여직원을 자신이 생활하는 주택으로 호출했다. 때로는 출장을 가는 도중 함께 차를 타고 가면서 여직원들에게 불필요한 신체 접촉을 시도한 정황도 드러났다.
성추행과 갑질을 견디다 못한 여직원들은 고민 끝에 지난달 중순 A씨에 대한 감사를 요구하는 진정을 감사실에 이례적으로 제기했다. 이후 감사실은 A씨와 여직원들을 분리한 뒤 조사를 진행해 사실관계를 파악했다.
시교육청에서는 앞서 지난 4월에도 직속 산하기관에 근무 중인 B씨(사무관)가 동료 여직원을 성추행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직위 해제됐다. B씨는 피해 여직원의 고소로 현재 경찰 수사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남교육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동료 여교사의 주요 신체 부위를 휴대전화로 몰래 촬영한 혐의로 재판 중인 중학교 교사 D씨가 의원면직 됐다.
30대 교사 D씨는 재판 과정에서 지난해 6월 전남 모 중학교 관사 목욕탕에 설치된 환기용 유리창 사이로 목욕 중인 동료 여교사의 신체를 몰래 촬영하려고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잊을만하면 터지는 교육 공무원 성 비위는 교육체계 전반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높은 도덕성이 필수적인 이들의 성 비위는 감수성이 예민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학교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하지만 광주시교육청에서 2021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성희롱과 성추행 등 각종 성 비위로 징계받은 교직원은 11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3명에서 2022년 4명으로 늘었다. 올해 들어서도 상반기에만 벌써 4명이 징계처분을 받았다. 전남교육청 같은 기간 12명이 성 비위에 연루돼 징계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시교육청은 성 비위를 막기 위해 지난달 31일 광주창의융합교육원에서 고위직 공무원 110여 명을 대상으로 성희롱, 성폭력, 성매매, 가정폭력 등 4대 폭력 예방 교육을 실시하는 등 재발 방지에 나섰으나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비난에 곤혹스러운 분위기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어떤 직종보다 모범이 돼야 할 교육계의 성평등 문화가 아직 미흡하다”며 “교육현장의 비뚤어진 성 인식을 바로잡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세워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