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 자금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북한의 추가 위성 발사 가능성에 대해선 “도발로는 아무것도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만들어야 한다”고 경고하며 군 당국 대응도 언급했다.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12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북핵 수석대표 협의 후 진행한 특파원 간담회에서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해 양국이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을 이끌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줄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며 “최근 북한이 국경을 재개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상황에서 국제사회가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북한의 국경 봉쇄로 이행되지 못하고 있던 부분이 있었다면, 지금이 바로 이행 강화의 기회”라며 북한의 불법 노동자 파견 문제 해결을 언급했다.
김 본부장은 또 “사이버는 제가 취임한 후 역점을 갖고 추진한 분야”라며 “북한의 주 수입원으로 부상한 불법 사이버 활동 대응을 위해 지난해 8월 한·미 실무그룹을 출범시켰고, 이런 협력을 통해 북한의 불법 사이버 수익 상당 부분을 동결·환수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또 한국의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진출 계기로 중국과 러시아의 비협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북 대응 문제에 대해서도 공조를 강화키로 했다.
김 본부장은 “내년에는 한·미·일 3국이 동시에 안보리 이사국으로 활동한다”며 “더는 안보리가 북한의 도발에 침묵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최근 베이징을 다녀온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를 만나 방중 결과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면서 “토니 블링컨 장관이 방중하면 당연히 북핵 문제도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 김 대표도 “블링컨 장관의 베이징 회담에서 북한이 현안에 오를 것”이라며 “우리는 한반도 안정과 평화를 위해 비핵화에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중국이 역할을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북한의 정찰위성 추가 발사 시기에 대해 “언제 하더라도 (대응할) 준비가 돼 있도록 하는 게 저희 목표”라며 “(도발하면) 한·미 양자와 한·미·일 3자 차원에서 대응이 이뤄지고, 제재와 군 당국의 대응 등이 다각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다만 구체적인 군 당국 대응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김 대표는 북한이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다는 미국 하원 정보위원장 평가에 대해 “정보 평가를 공유할 수 없다”면서도 “우리는 북한이 위험한 대량살상무기(WMD) 역량을 계속 개발하는 것을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긴장 고조 행위에 대해 대가를 치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동시에 우리는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만날 용의가 있다는 점도 분명히 해왔다”고 말했다.
한편 김 대표는 올해 은퇴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인도네시아 주재 대사를 맡으면서 동시에 이 매우 중요한 (북핵) 문제를 계속 다룰 수 있어 매우 영광이라고 느낀다”며 “그것 외에는 발표할 게 없고, 나는 내 일을 사랑한다. 생각이 바뀔 때까지 계속 내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