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은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의 ‘베팅’ 발언에 대해 압박 전략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중국은 한국이 당당한 외교에서 멀어지고 있다고 비난하며 외교 논란이 확대됐다.
존 커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 조정관은 12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싱 대사 발언에 대한 의견을 묻는 말에 “분명히 (중국의) 일종의 압박 전략(pressure tactic)이 사용된 것처럼 보인다”며 “한국은 독립적인 주권 국가이며 역내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훌륭한 동맹이자 친구”라고 밝혔다.
커비 조정관은 “한국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외교 정책 결정을 내릴 권리가 있다”며 “특히 우크라이나와 관련해서 우리는 한국이 제공하는 지원에 감사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싱 대사는 지난 7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면담 자리에서 “미국이 전력으로 중국을 압박하는 상황 속에, 일각에선 미국이 승리하고 중국이 패배할 것이라는 데 베팅을 하고 있다”며 “반드시 후회할 것”이라고 말해 외교 결례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대해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당당함에서 더 멀어지는 한국 외교’라는 사설을 통해 “지난 며칠간 한국 정부와 외교부, 보수 언론이 싱 대사에 분노를 쏟아냈다”며 싱 대사의 발언이 ‘온화한 충고’라고 주장했다. 사설은 “한국은 미국과 일본에는 굴종적이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오만하다. 왜 이 명백한 현실을 보지 못하느냐”며 “중국 대사를 공격하는 건 한국 외교에 불명예를 가져다주고 단점을 드러낼 뿐”이라고 언급했다.
ABC 방송은 “한국과 중국 간의 외교적 갈등은 글로벌 영향력을 둘러싼 치열한 미·중 경쟁 속에서 발생했다”며 “반도체와 기타 기술 제품 수출에 의존해 온 한국은 군사 동맹인 미국과 최대 구매국인 중국 사이에서 균형 맞추기에 고군분투해 왔다”고 평가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