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노인·장애인 등의 일상생활 지원 강화와 함께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이 결합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시는 12일 대전시청 대강당에서 ‘대전형 지역사회통합돌봄사업 비전 선포식’을 열고 35개 기관과 통합돌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전형 통합돌봄은 노인·장애인 등이 개인별 욕구에 맞는 돌봄 서비스를 기존에 사는 곳에서 누리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거를 비롯해 건강 의료, 요양, 돌봄, 일상생활 지원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사업의 비전은 ‘모든 시민이 살던 곳에서 돌봄을 통해 안전하고 행복하게 보낼 수 있는 일류복지 대전실현’으로 결정됐다.
시는 2026년까지 통합돌봄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관련 기반을 마련하고 2032년까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먼저 ‘5대 기본 돌봄사업’을 통해 모든 대상자들에게 수준 높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기본 돌봄에는 일시재가 서비스(돌봄·가사지원)와 주거편의 서비스(수리·방역·세탁), 이동지원 서비스(병원·외출·관공서 이동), 영양급식 서비스(퇴원환자·영양 필요자), 단기시설 서비스(긴급보호 돌봄 지원) 등이 포함됐다.
또 돌봄 신청부터 서비스 제공까지의 절차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통합돌봄 지원단’과 ‘통합돌봄 상담창구’를 운영한다.
시는 특히 첨단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돌봄을 통해 대상자들의 안전을 24시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일례로 야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돌봄케어 기기나 AI 스피커를 제공하고, 노인·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기기가 설치된 스마트 주택의 보급을 추진한다. 가전제품 콘센트에 연결해 대상 가구의 전력 사용량과 조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돌봄플러그’를 제공하는 사업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밖에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나 퇴원환자 등을 지원하는 방문건강의료체계가 강화되고, 통합돌봄사업을 제공하는 서비스기관 간 네트워크도 마련된다.
이와 관련해 시와 5개 자치구, 공공기관 3곳, 사회복지기관 11곳, 지역 의약단체 5곳, 병원 11곳 등 35개 기관은 이날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관 특성에 맞는 통합돌봄사업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형 지역사회통합돌봄사업은 주거와 건강, 영양, 이동 등 돌봄 대상자들이 지역에서 살아가는데 불편함이 없고 행복하게 생활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오늘 비전 선포와 협약을 통해 일류복지도시 대전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