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한 국공립어린이집에서 “돈가스 3㎏으로 원아와 교사 등 85명에게 급식을 제공했다”며 부실급식 의혹이 제기돼 시가 진상조사에 나섰다. 이 어린이집에서는 새 원장 부임 이후 원장과 교사 간 갈등으로 교사들이 집단퇴사하는 일도 벌어졌다.
11일 세종시 지역 맘카페 등에는 해당 어린이집에서 식자재 부족으로 원아에게 제공되는 간식·점심 등이 부모에게 공지된 원아 배식 식판 사진과 달리 부실하게 배식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히 돈가스 3㎏으로 원아 75명과 교사 10명에게 급식을 제공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공지됐던 것보다 훨씬 적은 양의 죽이 제공됐다며 관련 사진도 올라왔다.
한편 해당 어린이집 보육교사 10여명은 지난해 11월 새로 부임한 원장과 고용승계, 근로계약서 작성, 어린이집 운영 등의 문제로 갈등을 겪다가 지난 5일부터 출근하지 않고 있다. 교사들은 원장과 교육관의 차이가 크고, 고용승계를 약속한 원장이 근로계약서 작성을 미루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지난달 12일 집단퇴사 의사를 밝혔다.
교사들은 또 인수인계를 고려해 오는 30일까지 근무할 것을 사직서에 명시했으나 원장이 이달 2일까지만 출근할 것을 일방적으로 통보했다고 주장했다. 교사들은 교육자료 등을 교사 사비로 충당했다고 주장하는 등 어린이집 운영에 관한 문제도 제기하고 있다.
원장은 “교사들의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지난 2일까지만 근무하겠다는 것은 본인들의 의사에 따른 것”이라며 관련 녹취록도 가지고 있다고 반박했다.
교사들의 집단퇴사로 해당 어린이집에서는 지난 5일부터 보육 공백이 이어지고 있다. 영아 만 2세와 유아 만 3세를 통합운영하거나 만 3세 원아를 만 5세반에서 보육하는 등 어린이집이 파행 운영되면서 학부모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학부모 120여명은 원장에 대한 해임동의서를 모아 지난 9일 시에 전달했다.
일부 학부모는 원장을 아동정서학대 등으로 고소한다는 입장이고, 교사들도 직장 내 갑질과 강요, 협박 등으로 역시 원장을 고소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학부모들은 시의 책임을 강조하며 “최소한의 감시기관이 없으면 학부모는 뭘 믿고 아이들을 맡기나. 국공립어린이집 허가해주고 원장 부임시킨 시청은 책임지고 진상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어린이집을 관리·감독하는 세종시는 지난 7일 어린이집과 원장을 상대로 긴급행정감사를 벌였다. 시는 원장과 교사 입장이 대립하는 만큼 노동 당국을 통해 고용 관련 문제가 있었는지 여부와 회계감사를 통해 교사들이 제기한 어린이집 운영 관련 의혹에 대해서도 살펴볼 예정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