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에 재가입 의사를 전달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탈퇴한 이후 6년 만이다. 유엔 산하 기구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미 국무부는 리처드 버마 차관이 지난 8일 오드리 아줄레이 유네스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의 재가입 의사를 비공개로 통보했다고 악시오스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악시오스는 “유네스코 복귀는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 정책 목표 가운데 하나”라며 “유엔 산하 기관 의제에 대한 중국 영향력 확대를 막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미국과 유네스코는 그간의 분담금 납부와 이사회 복귀 등을 포함한 재가입 시나리오를 놓고 논의를 이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국무부가 제출한 서한에는 미국의 분담금 지급과 이사국 선출을 위한 일정 등이 자세히 설명돼 있다”고 말했다.
아줄레이 총장은 미국 복귀 의사를 설명하기 위해 12일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악시오스는 아줄레이 총장이 다음 달 특별 총회를 열어 회원국에 미국의 재가입 승인도 요청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미국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인 2011년 팔레스타인이 유네스코에 가입한 이후 국내법에 따라 유네스코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 미국은 중동 평화 협상이 완성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며 유엔 산하 기구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조치에 반대해 왔다. 트럼프 행정부 때인 2017년 10월에는 반(反)이스라엘 성향을 이유로 유네스코를 전격 탈퇴했다. 이스라엘은 2019년 유네스코를 공식 탈퇴했다. 반면 중국은 “계속해서 유네스코 업무에 참여하고 지지할 예정”이라며 미국을 비판했다.
악시오스는 지난해 2월 이스라엘 정부가 미국의 유네스코 복귀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뜻을 전달했다. 이스라엘의 입장은 미 의회가 유네스코 재가입을 지지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게 됐다고 악시오스는 설명했다. 미 의회는 지난해 12월 유네스코 분담금 5억 달러 지급을 승인하고 복귀를 서용하는 법안도 처리했다.
악시오스는 “미국은 유네스코 복귀 후 오는 11월 예정된 선거에서 이사국 자리에 선출되기를 희망한다”며 “서방국 사이에서는 이에 대해 이미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라고 보도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