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의 아들에게 과거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지목된 A씨가 11일 일부 언론에서 밝힌 입장문을 통해 “약 10년 전 사건으로 ‘학폭 피해자’로 낙인찍혀 힘들어하지 않도록 도와 달라”고 호소했다.
A씨는 2011년 하나고에서 일어난 학폭 사건과 관련해 “가해 학생이라 불리는 친구(이 특보 아들 B씨)로부터 사과받고 1학년 1학기에 이미 화해한 상황이었고, 뒤에는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었다”고 밝혔다.
A씨는 이 특보 아들 B씨와 관계에 대해 “(피해 내용) 진술서라 불리는 서류를 작성한 시점을 기준으로 약 1년 전에 이미 화해를 마쳤었고, 지금까지도 잘 지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A씨는 앞서 언론에 보도된 진술서에 대해선 “본인이 작성한 것은 맞다”면서도 “내용이 과장되거나 일방적 진술만 나열돼 왜곡된 부분들이 꽤 많다”고 밝혔다.
A씨는 구체적으로 “피해 진술 내용은 모두 1학년 초반에 있었던 일이고, 작성 시점은 2학년 4~5월경이라 시간적 간격이 있어 기억에 혼선이 있거나 다른 친구들의 피해 사례와 섞인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일방의 괴롭힘이 아닌 쌍방의 다툼 사례들이 있었음에도 내가 그 피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입힌 가해는 진술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A씨는 이어 자신의 의사와 무관하게 B씨에 대한 징계가 추진됐다고 밝혔다.
A씨는 “나를 포함해 일부 학생이 작성한 진술서를 본 일부 선생님이 B에 대한 처벌을 강하게 요청했다고 들었다”며 “이에 진술서를 작성한 다른 학생과 같이 선생님들께 찾아가 ‘우리는 (B의) 전학을 원치 않는다. 막아 달라’고 읍소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A씨에 따르면 당시 일부 교사는 “왜 그런 일을 당하고도 숨기려고만 하느냐”고 말했고, 결국 B씨는 전학을 가게 됐다고 한다.
A씨는 “현재도 B와 간혹 연락을 주고받으며 올 4월에도 만나는 등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내가 피해자였다면 그 당시 전학을 막아 달라고 읍소할 수 있었을지, 지금도 만날 수 있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진짜 학폭 피해를 본 다른 분들처럼 정신적으로 힘들어 상담받거나 외상으로 병원에 간 적도 없다. 나를 학폭 피해자로 간주하며 조명하는 것이 너무나도 큰 스트레스”라며 “그러니 제발 더 이상 나를 ‘학교폭력 피해자’로 분류하지 말아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