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5G전파 응용서비스 활용기반 조성’ 공모 선정

입력 2023-06-11 11:23
기술개발및검증개념도.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60GHz 이하 대역 5G전파 응용서비스 활용기반 조성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국비 90억원을 확보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공모 선정으로 경남도는 ‘4차 산업혁명 신산업 육성 및 기반 구축’이행에 필수적인 5G특화망 구축 및 융합 서비스 확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전파관리 기술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 2027년까지 5년간 사천1·2·종포 일반산단 및 항공산단을 중심으로 항공산업 지능형(스마트)공장의 5G전파망 실증에 사업비 139억원(국비 90억, 지방비 22억5000, 민간 26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총괄하고 주관연구개발기관은 한국전자파학회, 공동연구개발은 경남테크노파크, 광주과학기술원, 목포해양대학교 등 6개 전문기관과 기업이 참여한다.

주요 사업은 경남도 사천 산단 내 항공분야 지능형 공장을 대상으로 자율이동 로봇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실제 공장 내부의 다양한 환경별 전파특성을 측정·분석·모형화 하는 기술을 개발·실증한다.

1단계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3차원 실내 전파특성측정·분석·모형화가 가능한 전파측정 자율로봇과 관련된 기술을 개발한다. 2단계는 2027년까지 사천 산단 내 항공 지능형 공장의 실내에 전파측정 자율로봇을 배치해 최적의 5G통신망 구축과 5G응용서비스를 시범 실증해 사업 성과를 확산해 나간다.

지능형 공장 실내에는 각종 제조시설과 장비, 작업소음 등으로 전파가 닿지 않는 음영지역이 존재하고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전파가 혼재돼 데이터 전송 지연, 실패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지능형 공장 운영의 신뢰성, 안정성, 생산성, 품질 등에 부정적 요인으로 직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사업에서는 전파를 측정하는 자율로봇과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해 전파 음영지역을 측정·분석하고 전파간섭을 피하면서 가장 효율적인 전파 단말기 구축 위치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지능형 공장 내 초저지연·초고속·초광대역을 실현하는 최적의 5G전파망을 설계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 개발한 자율로봇을 활용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등 사천의 3~4개 항공기업을 대상으로 항공산업에 최적화된 5G전파망 설계, 전파측정 등을 실증하게 된다.

기존에는 전파특성 측정과 분석작업에 숙련된 전문가 2~3명이 투입돼 1~4주 정도의 작업시간이 소요됐지만 전파측정 자율로봇과 기술을 활용하면 전파측정과 동시에 모형화할 수 있어 작업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 사람이 작업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측정·분석이 가능해 5G단말기 구축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향후 항공기업들의 지능형 공장 전환 및 고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류명현 경남도 산업통상국장은 “성장 한계의 전통적 제조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인공지능, 확장 가상 세계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제조업 융합이 필수 시대”라며 “이 사업을 통해 최적의 5G통신망 설계·구축 기술 역량을 확보해 경남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