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디지털 정책 플랫폼’ 구축…“빅데이터 활용”

입력 2023-06-07 10:24
고양시는 스마트 행정을 위해 '디지털 정책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고양시 제공

경기 고양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행정을 펼치기 위해 모든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볼 수 있는 ‘디지털 정책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주요 시책, 도시 현황, 각종 지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정책 플랫폼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데이터를 수집·통합하고 실시간 연계 및 시각화 과정을 거쳐 구현하는 것으로 올해 구축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디지털 정책 플랫폼에서는 모든 행정 데이터를 총망라해 다른 시스템 이동 없이 시정 전반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시각화한 대시보드 설계에 따라 직관적으로 콘텐츠 확인이 가능하다. 이곳에서 수집, 연계한 데이터는 업무를 직접 담당하는 부서 의견을 토대로 선정해 업무 활용성과 편의성을 높인다.

아울러 사고, 화재, 재난 등 위급 상황 발생 시 실시간 도시 현황 모니터링을 통해 대응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리정보체계(GIS) 기반 스마트 시설, 대중교통 이용 인원 기반 인구 밀집도, 노후 시설물 통합 안전관리 현황, 사물인터넷(IoT) 센서 측정 결과 등도 확인 가능하다.
고양시 빅데이터 플랫폼 '빅토리'. 고양시 제공

이에 앞서 시는 2020년부터 빅데이터 플랫폼 ‘빅토리(BIGTORY)’를 만들어 활용 중이다. 빅토리에는 고양시 일반 현황을 비롯해 통계, 사회조사 등 시각화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위치를 확인하는 생활지도, 연령별·주제별 검색이 가능한 융합지도 자료도 제공한다. 노후주택 비율, 1인당 공원 면적 등 지표를 활용해 시설물별 적합한 입지를 찾아낼 수도 있다.

또한 지난해 11월부터 일산동구 장항동 고양 스마트시티 지원센터 내에서 운영 중인 ‘경기 북부·고양 데이터 분석센터’에서도 전 산업에 대해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경기데이터분석 포털에서 회원 가입 후 신청만하면 경기도 내 의료기관, 노점상, 인허가 등 2000여종 공공 데이터와 함께 카드 매출, 유동 인구 등 20여종의 민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합리적 의사 결정과 효율적 정책 수립에 힘쓰고,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며 “기업에게는 성장의 기회를, 시민에게는 더 나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