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제주 제2공항 건설 계획에 대해 제주도민 2만5000명이 의견을 냈다.
제주도는 국토부가 공항시설법에 따라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제주도에 기본계획안에 대한 의견 제시를 요청함에 따라 지난 3월 9일부터 5월 31일까지 주민 열람 및 의견 수렴을 실시한 결과 총 2만5729명이 의견을 제출했다고 1일 밝혔다.
반대단체인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를 통해 1만4763명, 찬성단체인 제2공항성산읍추진위원회를 통해 8107명이 의견을 냈다.
지난 1~4차 도민경청회에서 530명, 홈페이지를 통해 662명, 읍면동주민센터와 주민소통센터, 제주도 공식유튜브 채널, 우편 등을 통해서도 1667명이 의견을 제출했다.
내용을 보면 환경 훼손과 군사공항화 우려 등으로 제2공항 건설은 적절치 않다는 의견과 지역 균형발전, 일자리 창출, 기존 공항 포화 등으로 제2공항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도민 의사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주민투표를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과, 공항 건설에 따른 이익이 제주도로 환원되기 위해 내국인 면세점 운영권 등을 확보해야 한다는 등의 의견도 다수 접수됐다.
도는 도내 전문기관을 통해 접수된 의견을 유형화한 뒤 이달 말 국토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김명준 제주도 공항확충지원과장은 “접수된 의견 가운데 조건부 찬성·반대 의견이 많아 연구기관에 유형화를 의뢰한다”며 “제2공항에 대한 제주도의 공식 입장을 별도로 낼지에 대해서는 조금 더 시간을 두고 고민하겠다”고 했다.
국토부는 제주도에 대한 의견 수렴 절차가 마무리되면 제2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한다.
이후 제2공항 실시계획 수립 과정에서 제주특별법에 따라 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해 제주도의회의 최종 동의를 받으면 공사를 시작할 수 있다. 도의회가 부동의하면 제2공항 사업은 중단된다.
제2공항은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550만6000㎡ 부지에 6조6743억원을 투입해 활주로(3200m×45m) 1본과 계류장(항공기 44대), 여객터미널(16만7381㎡), 화물터미널(6920㎡) 등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