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난 줄”…서울 경계경보 ‘오발령’에 출근길 대혼란

입력 2023-05-31 07:54 수정 2023-05-31 10:07
31일 오전 서울 지역 주민들에게 발송된 위급재난문자. SNS 캡처

31일 오전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가 발사됨에 따라 서울 지역에 한때 경계경보가 잘못 내려져 시민들이 불안에 떨었다.

서울시는 이날 7시25분쯤 안전안내문자를 발송해 “(앞서) 북한 미사일 발사로 인해 위급안내문자가 발송됐다”면서 “서울시 전지역 경계경보가 해제됐음을 알려드린다. 시민 여러분께서는 일상으로 복귀하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 지역에서는 이날 오전 6시32분 경계경보가 발령됐었다. 서울 전역에 사이렌이 울리고 안내방송도 울려 퍼졌다. 서울시는 위급안내문자에서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관련 뉴스 기사를 확인하기 위해 포털 사이트 접속자가 폭주하면서 오전 6시45분쯤 네이버 모바일 버전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트위터 등 SNS에는 “아침부터 이게 무슨 일이냐” “사이렌 듣고 전쟁 난 줄 알았다” “경보만 뜨면 어떡하나.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알려 달라” 등 반응이 쇄도했다. 국민재난안전포털에 들어가서 주변 대피장소를 확인하라는 알림이 공유되기도 했다.

대피장소 확인 방법을 공유하는 글. 트위터 캡처

하지만 서울시 경계경보는 잘못 내려진 것으로 정정됐다. 행정안전부는 오전 7시쯤 위급재난문자를 통해 “서울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서울 지역의 경보는 30여분 만에 한바탕 소동으로 마무리된 셈이다. 이후 온라인에는 위급상황 시 정부 차원의 정확한 안내와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줄지어 오르고 있다.

서울시의 경계경보 오발령으로 경기 지역에서도 시민들의 신고가 속출했다. 서울시가 안내문자를 발송한 시각부터 이날 오전 7시10분까지 약 30분간 경기남부경찰청에는 130여건의 112 신고가 잇따랐다. 대부분 “전쟁이 난 것이 맞느냐” “대피해야 하느냐”며 문의하는 내용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비슷한 시각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도 이 같은 내용의 문의전화가 여러 차례 접수됐다.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는 공습경보가 내려져 섬 주민들이 급히 대피소로 몸을 피했다. 행안부는 이날 오전 6시29분께 백령도 일대에 경계경보를 발령한다며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실제로 이날 오전 백령도 일대에는 사이렌이 20분 넘게 울렸으며 백령면사무소는 마을 방송으로 “경계경보와 관련해 주민들은 대피해 달라”고 전파했다.

서울 경계경보 오발령과 관련해 정부 대응을 질타하는 반응. 트위터 캡처

한편 합참은 이날 북한이 남쪽 방향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위성을 탑재했다고 주장한 발사체를 쏜 것은 2016년 2월 7일 ‘광명성호’ 이후 7년 만이다.

군의 한 소식통은 이날 “북한 우주발사체가 북한이 예고한 낙하지점에 못 가서 우리 레이더에서 소실(사라짐)됐다”면서 “비행 중 공중폭발 또는 추락 여부를 분석하고 있다”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합참도 “(북한 우주발사체의) 정상적인 비행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31일 0시부터 내달 1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밝히면서 1단 로켓 낙하지점으로 ‘전북 군산 쪽에서 서해 멀리’, 페어링(위성 덮개) 낙하지점으로는 ‘제주도에서 서쪽으로 먼 해상’ 등을 지목했다.

북한은 지난달 13일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을 시험발사한 지 40여일 만에 다시 도발을 감행했다. 이번이 올해 10번째 발사체 발사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