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곽상도 전 의원 부자의 50억 뇌물수수 의혹 사건과 관련해 하나은행 본점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강백신)는 2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대장동 컨소시엄 구성 관련 자료를 확보 중이다. 검찰이 곽 전 의원 부자에 대한 보강수사에 착수한 이후 처음으로 하나은행 압수수색에 나선 것이다.
검찰은 대장동 개발에 뛰어든 화천대유자산관리가 2015년 하나은행과의 ‘성남의뜰’ 컨소시엄 무산 위기를 겪을 때 도움을 준 대가로 곽 전 의원이 화천대유로부터 거액의 뇌물을 수수한 것으로 의심한다.
대장동 개발 사업 공모에는 화천대유와 하나은행이 포함된 성남의뜰 컨소시엄 뿐만 아니라 호반건설이 주도한 산업은행 컨소시엄도 참여했다. 당시 호반건설 측이 하나은행에 성남의뜰 컨소시엄에서 이탈해 자신들 쪽으로 합류할 것을 제안하자, 이 상황을 컨소시엄 와해 위기로 인식한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가 곽 전 의원에게 청탁해 막았다는 게 검찰 시각이다. 김씨 부탁을 받은 곽 전 의원이 성균관대 동문인 김정태 전 하나금융지주 회장에게 직접 연락해 성남의뜰 컨소시엄에 잔류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이후 화천대유에서 근무했던 곽 전 의원 아들은 2021년 4월 일을 그만두며 퇴직금 명목으로 50억원(실수령 약 25억원)을 받았다. 검찰은 이 돈을 컨소시엄 무산 위기를 막아준 곽 전 의원에 대한 뇌물로 본다.
하지만 1심 재판부는 지난 2월 곽 전 의원의 뇌물·알선수재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이 곽 전 의원의 혐의를 구성하는 근거가 됐던 김씨 진술 등을 신뢰하기 어렵고 실제 하나은행 이탈 위기가 있었다고 단정하긴 어렵다는 이유였다. 이에 검찰은 곽 전 의원 아들을 뇌물 혐의 공범으로 입건하고 석달 이상 보완수사를 이어오고 있다.
검찰은 지난 23일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 25일 전중규 전 호반건설 총괄부회장과 박철희 호반건설 대표이사도 차례로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2015년 대장동 컨소시엄 구성 과정을 다시 들여다보고 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