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지난해 발생한 진해만 정어리 피해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25일 경남연구원에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창원시 등과 사전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회를 가졌다.
지난해 9~10월 기간 중 진해만에 유입된 정어리의 대량 폐사로 인해 도심 주거․관광시설 악취, 수질오염, 폐사체 수거 및 처리 등 사회·경제·환경적으로 큰 피해를 초래한 바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도 지난해처럼 남해안 연안에 다량의 정어리 무리가 출현할 것으로 전망함에 따라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박완수 경남지사는 정어리 대량 폐사가 일어나기 전에 가공 등 산업적으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에서는 지난 18일 창원시와 함께 정어리 조기 출현, 폐사 예방에 대한 사전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긴급 실무회의를 갖고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논의했다.
이어 이날 관계기관 긴급 대응 협의회에서는 정어리 대량 연안 유입에 대비해 신속하게 포획 가능한 어업을 활용, 산업적 가치가 있는 작은 정어리 상품화를 포함해 가공 식품화하는 방안과 폐사발생 시 신속 처리방안 등 대량 발생 단계별 대응 대책을 협의했다.
단계별 대응으로 어린정어리 시기에는 산업적 가치가 높기때문에 포획해 자숙 등 1차 가공을 거쳐 상품으로 판매해 어업인 소득과 대량 폐사 발생을 제어한다는 방침이다.
또 중간어 이상의 경우는 통조림 등 가공제품 및 냉동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폐사가 발생하면 경남도와 창원시, 해수부가 협업해 비료화, 사료화 및 소각 등 신속하게 최종 처리해 주민 불편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 한다는 계획이다.
김제홍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지난해 정어리 대량 폐사 발생으로 창원시 인근 주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었다”며 “올해는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해 단계별로 대응 방안을 마련해 적극 대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