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금리 추가 인상 못한다는 생각 말아 달라”

입력 2023-05-25 14:07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본부 신청사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를 3회 연속 3.5%로 동결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마친 뒤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결국 인상한 호주연방준비은행의 지난달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도 (금리 인상을) 못할 것으로 생각하지 말아 달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25일 서울 중구 한은 본부 신청사에서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에서 의장인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위원 전원이 최종금리 수준으로 3.75%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의견을 모은 논의 과정을 전하며 “소비자물가(상승률)가 둔화하고 있지만 근원물가(상승률)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 인상을 중단할지 지속할지, 이것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작용할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회의에서 지난 2월 23일과 지난달 11일에 이어 3회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3.5%에서 동결했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금리 인상기가 정점을 찍고 ‘버티기 국면’에 들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받고 있다. 남은 과제는 현행 수준의 금리를 얼마나 유지할 수 있을까 하는 점에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이 한은 최종금리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총재는 “물가(상승률)가 확실하게 2%에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기 전까지 인하 시기를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금리를 300bp(3.0%) 이상 올린 상태에서 물가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연준 관련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에서 선제적 (인하) 결정보다는 지켜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은이 (금리를) 더 올리지 않고 겁만 준다는 시장의 반응을 들었다. 우리는 옵션을 얼어놨고, 물가와 데이터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며 “호주도 (금리를) 홀드(동결)하겠다고 해 올리지 않을 줄 알았지만 지난달 올렸다. 한국이 절대로 못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아 달라. 적어도 금통위원들이 상황을 보자고 한 것은 올릴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낮춘 배경으로 “예상보다 정보기술(IT) 경기와 중국 경제 회복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부동산 시장 상승 전환으로 보는 시장 일각의 평가에 대해 “경기가 잠재성장률 아래에 있다. 이자가 300bp 올라 높은 수준이니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다시 과열되거나 불안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