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고령 장애인을 위해 문화 활동과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고령 장애인 쉼터’ 20곳을 연내 설치·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고령 장애인 쉼터는 만 65세 이상 장애인(필요시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건강(요가, 게이트볼, 건강 상담 등), 사회참여(원예치료, 웃음 치료, 스마트폰 교육 등), 사례관리(인권 교육, 고위험군 관리 및 외부 연계 등) 등을 지원한다.
도내에는 2019년부터 용인, 평택, 의왕, 안성, 오산, 하남, 부천, 남양주 등 8곳에서 고령 장애인 쉼터를 운영했지만, 도 사회복지기금을 활용한 민간 단체 지원방식이었다.
이에 도는 쉼터를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12억6000만 원(도비 3억7800만원, 시·군비 8억8200만원)을 투입해 시·군 보조사업 방식으로 전환했다.
도는 기존 8곳을 폐지하는 대신에 해당 시·군에 그대로 신규 쉼터 8곳을 대체해 설치했으며 이밖에도 화성, 안산, 고양, 파주, 의정부, 구리, 포천, 양평, 동두천, 과천, 가평, 연천 등 12곳을 추가해 올해 안으로 총 20곳을 설치할 예정이다.
도는 31개 전 시·군으로 쉼터를 확대한 이후 고령 장애인 인구수에 따른 시·군별 적정 시설 수를 검토해 계속 늘릴 계획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에 고령 장애인 쉼터에 대한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를 요청, 22일 ‘협의 완료’를 통보받았다.
도내 등록장애인 58만명(지난해 말 기준) 중 만 65세 이상 고령층은 28만명(48.9%)으로 최근 11년간 51%(18만명→28만명) 증가했다.
김능식 도 복지국장은 “고령층 장애인들이 마음 편히 여가를 누릴 수 있는 곳이 마땅치 않아 사회 단절로 인한 우울증 등이 발생하고 있다”며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와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장애인의 기본 권리를 보장하고 장애에 따른 불편과 차별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