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전달할 포탄 수십만발의 이동을 진행 중이라는 미국 매체 보도가 나왔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현지시간) 한국이 비밀 합의에 따라 미국에 포탄을 이전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를 차례로 우크라이나에 보내도록 준비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 당국자들은 이 같은 조치에 따라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대해 계획한 공세에 효과를 내고 미국은 많은 국가에서 금지된 집속탄 공급 여부에 대한 어려운 결정을 미룰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4월 미 국방부 문건 유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문건에는 한국이 155㎜ 포탄을 폴란드를 우회해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는 방안이 담겼다. WSJ는 이번 결정을 두고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돌파구가 마련됐다고 봤다.
그러나 백악관과 한국 정부 모두 WSJ에 이에 관한 언급을 거부했다.
미 국방부는 어떤 방식으로 포탄을 이송 중인지, 이송이 언제 완료되는지 등에 대해서는 언급을 거절했으나 한국 정부와 포탄 구매를 두고 협의해 왔다는 점은 인정했다고 WSJ는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살상무기 지원을 주저해온 한국 정부의 입장 변화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WSJ는 앞서 지난해 11월 한·미 간 비밀 무기 합의를 통해 한국이 우크라이나군에 갈 포탄을 미국에 팔기로 했다고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당시 우리 국방부는 최종 사용자가 미국이라는 조건을 달아 아직 협의 중이라며 살상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하지 않는다는 방침은 그대로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WSJ는 미 당국자들이 미측이 한국 정부에 지난해 처음 우크라이나로 보낼 포탄 제공을 요청했고 비밀 합의를 두고 노력했으나 언론 보도 이후 한국 정부가 냉랭한 태도로 돌아섰다고 전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은 우크라이나에 탄약을 지원할지 여부에 대해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전날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우크라이나에 탄약을 지원할 것이냐’는 질의에 “현재까지 우크라이나에 대해 인도적·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우크라이나가 불법 침략을 당했다. 추후 전황을 보고 다른 상황을 고려해 검토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