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 자금 마련을 위한 불법 외화벌이에 IT 인력 위장 취업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자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수천 명의 북한 IT 인력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정 박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는 24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북한 IT 인력 활동 관련 한·미 공동 심포지엄’에서 “우리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수천 명의 북한 IT 인력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며 “이들은 때때로 미국 기업에 고용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기업 중 일부는 해킹까지 당해 장기적인 피해를 봤다”며 “이들은 아시아에서 중동, 아프리카 등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모든 곳에 있다”고 말했다.
박 부대표는 “유엔 추산에 따르면 이들 IT 인력은 북한의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에 매년 5억 달러 이상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해당 IT 인력 대부분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을 주도하는 군수공업부에 속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 부대표는 또 “이들은 해킹을 위한 웹사이트를 개발해 북한 해커들을 지원하고, 심지어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관련 물품 조달도 도왔다”며 “북한 국경이 다시 개방되면 IT 인력의 위협이 더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북한은 IT프리랜서를 정부 차원에서 양성, 불법 사이버 활동을 통해 자금을 벌어들이는 북한판 골드러시를 벌이고 있다”며 “최근 미국 법무부는 북한 IT 인력이 미국 시민으로 신분을 위장해 미국 기업에 취업한 사례를 적발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팬데믹 이후 원격근무를 이용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에 취업, 이를 외화벌이 수단으로 삼는 북한 IT인력들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 IT 인력들은 미국 등 해외 신분증을 사거나 다른 나라 사람에게 구인구직 플랫폼에 대신 신청을 요청하는 수법으로 취업에 성공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북한 IT인력들은 화상 면접 때 대리인을 내세웠고, 취업 후에는 통화나 메시지로 업무를 처리해 신분을 숨겨왔다. 북한 IT인력은 소프트웨어 앱 개발부터 블록체인이나 가상자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일감을 수주해 왔다. 이들은 보이스피싱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정보를 탈취하고, 이를 중국과 한국의 범죄조직에 판매하기도 했다.
이날 비공개로 열린 심포지엄에서는 미국의 구인·구직 플랫폼 링크트인과 페이팔 관계자 등도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준일 북핵외교기획단장은 “북한 IT 인력이 세계 유수의 구인·구직 플랫폼에서 일감을 수주하고 세계적인 결재 시스템을 통해 자금을 세탁하는 행위를 보인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