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4일 당내 통합과 단결이란 가치보다 혁신과 개혁의 가치에 더욱 힘을 실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
혁신과 개혁의 방향은 당내 의사결정과정에서 권리당원의 힘을 더욱 키우는 방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비명(비이재명)계 등 당내 반대와 비판에 정면돌파를 선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 당원존에서 열린 유튜브 ‘당원존 라이브’ 방송에 나와 “혁신의 때가 됐다”며 “당내에 ‘당원이 왜 이렇게 말이 많냐’는 일종의 억압 문화도 있는데, 민주당의 주인이 누구인가 잊으면 안 되고 (당원이) 주인으로서 역할도 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내년) 총선에서 이기는 것이 가장 큰 개혁이다. 이겨야 개혁이라도 한다”면서 “이기기 위해서는 통합되고 단결된 모습을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지금까지 분열·갈등 요인들을 많이 절제해온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에는 당을 혁신·개혁·쇄신해야 한다고 다양한 영역에서 요구가 뻗어 나오기 때문에, 때가 된 것 아니겠느냐”며 “이제는 통합과 단결의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할 수 있는 혁신·개혁들을 해나가자 말씀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날 방송에 초청된 게스트들은 일관되게 당의 의사결정 과정에 당원들의 힘을 키우는 것을 ‘개혁 방향’으로 제시했다.
광주를 대표해서 나온 민형배 의원은 “(광주에서) 민주당이 앞장서 혁신적인 공천을 하라는 요구가 서서히 나오고 있다”며 “당원이 기득권을 깨고 실질적으로 당원 중심 의사결정으로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는 당원 중심 당 운영을 공천 과정에서 후보 세우는 과정에서 하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을 대표해서 나온 서은숙 최고위원은 “원외위원장 총회를 했는데 오히려 대구·경북에서 대의원제 폐지에 동의했다”며 “당원 140만 시대, 민주당이 1인 1표를 통한 대의원제 폐지에 의견을 모아야 한다. 당원 140만 시대에 대의원제 폐지가 힘 있게 밀고 나갈 첫 번째 개혁 과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과거에 간접민주주의를 채택했던 이유는 지리적 한계 때문”이라며 “지금은 정보통신수단, 교통수단의 발달로 그런 한계가 사라졌다. 직접민주주의의 욕망이 커지고 실현 가능성이 커져, 당원이 당의 실제 주인인지 의구심이 많다”고 언급했다.
또 “그저께 원외위원장 58분을 만났다”며 “원외위원장들이 가진 기득지위가 대의원 선발권밖에 없어 (대의원제 폐지에 대한) 반대가 심할 줄 알았는데 오히려 흔쾌히 열정적으로 없어져야 한다고 해서 놀랐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 청년 대표로 나선 임세은 전 청와대 부대변인은 심지어 당원들의 혁신 의견을 취합하는 방법을 논하던 중 “우리도 해당행위를 한다든가 하면 ‘당원소환제’로 불러 세워 제명까지 갈 수 있는 제도도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 대표는 당내 의사결정 과정에 당원들의 의사 반영 비율을 늘리는 등의 내용을 담은 것으로 추정되는 당내 혁신위원회 혁신안을 강력하게 집행해나갈 계획도 밝혔다.
이 대표는 “(장경태 위원장이 맡은 혁신위에서 내놓은) 혁신안이 준비가 잘 돼 있는데, 미뤄왔던 이유는 통합과 대오 단결, 균열과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었다”며 “이제는 집행을 해야 해 하나씩 해나갈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혁신안은 오는 26일 최고위원회의에 보고될 예정이다.
이 대표는 또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보유 논란과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에 따른 위기를 타개하겠다며 지난 14일 쇄신의총에서 발족을 천명한 혁신기구에 대해서는 “(위원장 등 구성을) 완벽한 외부로 하는 게 바람직하냐 내부로 하면 누가 할 것이냐로 갈등해서는 안 된다”며 “구성이나 형식으로 갈등하지 않으면 좋겠다. 정쟁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