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강남구 주택에서 발견된 외래 흰개미는 5년 전 수입 목재를 통해 유입됐으며 다행히 주변 지역으로 확산하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4일 외래 흰개미를 발견했다고 신고한 강남구 주택과 인근 세대에서 지난 22∼23일 정부 합동 역학조사를 벌인 결과 흰개미가 주변으로 확산한 흔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새로운 군체를 형성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할 때 흰개미들은 최소 5년 전 주택을 지을 당시 나무로 된 건축자재나 가구를 타고 유입된 뒤 그동안 따뜻한 실내에서 생존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서식지는 주택 내부 문틀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여왕 흰개미를 포함해 총 253마리를 찾아 완전히 박멸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흰개미의 생태적 특성상 건물 밖으로 탈출해 야외 환경에서 정착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했다.
유전자 분석 결과 발견된 흰개미는 ‘마른나무흰개미’(Kalotermitidae)과 ‘크립토털미스’(Cryptotermes)속 ‘도메스티쿠스’(Domesticus)종인 것으로 밝혀졌다. 도메스티쿠스종은 말레이시아 호주 중국 스리랑카 등지에 주로 분포한다.
인체에 해를 가하지는 않지만 나무를 갉아 먹어 문화재나 목조건물을 붕괴시키는 등 세계적으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국내 서식은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가 없기 때문에 학명 외 정식 이름도 없는 상태다.
그러나 마른나무흰개미과 흰개미가 국내로 유입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흰개미의 원산지가 북미, 호주 등 한국과 교류를 많이 하는 지역이고 기후변화로 국내 환경이 마른나무흰개미과가 살기에 적합한 쪽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합동 역학조사에 참여한 이종호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방제과장은 “추가 발생 확인 및 대응을 위해 외래 흰개미 발견 시 적극적인 신고를 부탁한다”며 “외래병해충 국내 유입 방지를 위해 관계기관 간 협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