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공중보건 컨트롤타워 “소셜미디어, 청소년 정신건강에 큰 해악”

입력 2023-05-24 11:16
미국 공공보건당국 수장이 “소셜미디어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엄청난 해악을 끼치고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비벡 무르티 미국 공공보건서비스(PHSCC) 단장 겸 의무총감은 이번 발표를 통해 “최근 들어 각종 SNS 플랫폼을 통해 이전보다 훨씬 극단적이고 부적절한 콘텐츠들이 매우 노골적인 형태로 널리 유포되고 있다”면서 “청소년들이 이같은 콘텐츠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자기 파괴적인 습관에 빠질 위험성이 높다”고 밝혔다.

무르티 의무총감은 이어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이버 폭력과 온라인 집단 괴롭힘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면서 “이같은 소셜미디어 환경은 청소년들에게 고독, 공황장애, 정신불안 등 각종 정신질환을 유발할 개연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PHSCC는 1960년대 흡연 문제, 80년대 에이즈의 치명성, 2000년대 초반의 비만 위험성 등을 선제적으로 경고하며 건강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주도해온 미국 공공보건 컨트롤타워다.


무르티 총감은 19쪽 분량의 주의보를 통해 “소셜미디어가 일부 긍정적 효과를 낳기도 하지만, 청소년의 건강과 행복에 해를 끼친다는 광범위한 지표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또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이들의 정신건강 위기 현상은 소셜미디어가 주요 유발 원인”이라며 “이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했다.

그는 “필요 이상의 소셜미디어 사용이 신체상 문제도 유발한다”면서 “섭식행동과 수면의 질에 악영향을 주고 타인과의 비교를 통한 자존감 하락과 자기 비하 등을 불러온다”고도 했다. 아울러 “하루 3시간 이상의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청소년은 우울증과 분노 조절 장애 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겪을 개연성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두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고 했다.

무르티 의무총감은 “청소년에 대한 소셜미디어의 부정적 기능을 억제하기 위해선 가정과 정부, 기술기업 등의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기술기업들이 이용 최소연령 제한을 강화하고 안전과 개인정보보호 기준을 대폭 강화해야 하며, 어린이용 디폴트 세팅 기준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 역시 소셜미디어를 제공하는 기술기업들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각종 플랫폼에 대한 연령별 건강·안전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여론조사전문기관 퓨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 10대의 95%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으며, 3분의 1은 매일 소셜미디어를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르티 의무총감은 최근 들어 두드러지게 발생하고 있는 총격에 의한 집단살인사건과 관련해서도 경고 메시지를 내놨다. 그는 “총격이 마치 전염병처럼 번지고 있담”면서 “고립과 외로움, 타인과의 관계 단절 현상이 우리나라에 만연해 공공 보건을 위협하고 있다”고 했다.

NYT는 “PHSCC의 이번 발표는 그동안 과소평가돼온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를 사회 전체가 해결해야할 가장 중요한 보건 과제로 격상한 것“이라면서 “무르티 의무총감이 소셜미디어의 해악성을 콕 집어낸 것도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평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