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압박에…선관위, 보안점검·전수조사 진행키로

입력 2023-05-23 20:39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당 간사인 이만희 의원과 정우택·조은희 의원이 북한의 해킹 시도와 사무총장 자녀 특혜 채용 의혹과 관련해 23일 오전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항의 방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고위 간부 자녀 특혜 채용’ 의혹과 관련해 5급 이상 간부를 대상으로 자녀의 선관위 재직 여부를 전수조사한다고 23일 밝혔다. ‘북한 해킹’ 의혹과 관련해서는 국가정보원이 참여하는 합동 보안점검을 수용하기로 했다. 국민의힘이 선관위를 항의 방문하는 등 지속적으로 압박하자 한발 물러선 것이다.

선관위는 이날 “사무총장·사무차장 및 제주도 상임위원(1급) 자녀 경력경쟁채용과 관련해 현재 특별감사위원회를 구성해 감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5급 이상 공무원의 자녀 경력 채용 사례도 전수조사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감사 결과 미흡한 점이 있는 경우 수사기관의 수사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요청한 자녀 채용 관련 인사자료도 제공할 예정이다.

선관위는 내부 특별감사위를 통해 자녀 특혜 채용 의혹을 들여다볼 계획이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자체 감사가 아니라 감사원 감사로 의혹을 규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아빠 찬스 ‘셀프 결재’가 드러나고 있는 마당에 제 식구 감싸기 ‘셀프 감사’를 과연 국민이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특혜 채용 의혹을 받는 선관위 고위직 자녀는 현재 6명에 달한다. 앞서 박찬진 선관위 사무총장과 송봉섭 사무차장 등 전·현직 고위 간부 4명의 자녀가 선관위 경력직으로 채용된 사실이 드러났고, 이날 2명이 추가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당 간사인 이만희 의원은 이날 경기도 과천 중앙선관위를 항의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특혜 채용 의혹으로 확실하게 드러난 것은 4명이고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사람이 2명 추가됐다”고 밝혔다. 의혹을 받는 6명 중 5명은 경력직 채용 뒤 6개월 이내에 승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북한의 해킹 공격을 받았음에도 행정안전부와 국정원의 보안점검 권고를 무시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던 선관위는 합동 보안점검을 수용키로 했다.

선관위는 “범국가적으로 북한의 고도화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법률상 정보보호기관인 국정원·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3자 합동으로 보안 컨설팅을 수행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초 선관위는 기관의 독립성 등의 문제로 국정원이 참여하는 보안점검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었으나 국민의힘의 총력전에 입장을 선회했다.

다만 선관위는 “국정원의 보안 컨설팅에 대한 우려도 있음을 감안해 교섭단체 구성 정당이 추천하는 전문가를 참여시키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