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구제역 감염이 확산세를 보이자 전국 최대 양돈지역인 충남에도 초비상이 걸렸다.
충남도는 우제류 긴급 백신 접종 및 농가·도축장 소독, 출입통제 강화 등 구제역 확산 방지 대책을 추진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구제역은 전날까지 충북 청주 9곳, 증평 2곳 등 충북지역 한우·염소농가에서 총 11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청주 구제역 발생지역과 충남 천안까지의 직선 거리가 약 7㎞에 불과한 만큼 도는 11~14일 천안지역 우제류 가축 11만7000마리를 대상으로 긴급 백신 접종을 실시했다.
16~21일에는 나머지 지역에서도 접종을 진행하는 등 도내 15개 시·군 6700농가의 가축 150만5000마리에 대한 긴급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 백신은 모든 우제류 농장에 무상으로 공급했다.
도는 이와 함께 구제역 발생 농장이나 도축장과 관련 있는 차량 및 시설, 농가 등 452곳에서 환경·정밀·임상 검사 등을 실시했다. 역학관계가 있는 농가나 차량 등에는 이동 제한을 내리는 한편 소독 및 예찰을 강화했다.
중점 방역 지역으로 지정된 천안은 농장 출입 차량들이 거점시설에서 소독 후 필증을 발급받도록 행정명령을 발령했다.
도는 앞으로 천안은 하루 1회, 나머지 14개 시·군은 주1회 전화 예찰을 통해 구제역 확산 상황을 확인할 계획이다. 50마리 이상 소를 키우는 전업농가 3154곳은 전담관이 직접 백신 접종 및 방역 실태 등을 점검하게 된다.
도내 포유류 도축장 9곳에는 소독전담관을 지정한다. 소독전담관은 도축장 출입 축산차량의 세척·소독 여부와 차량 GPS 장착 여부를 확인한다.
오진기 충남도 농림축산국장은 “충남은 243만3000마리의 돼지를 키우는 전국 1위 양돈지역이자 51만6000마리의 소를 사육하는 전국 3위 소 사육지역”이라며 “지난 7년간 구제역 비발생을 유지해 온 것처럼 구제역을 성공적으로 차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