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김남국 의원의 고액 가상화폐 보유 논란과 관련해 “우리가 ‘조국의 강’을 건너지 못한 이유도 당시 강성 팬덤의 영향력이 컸다. (끊어내지 못하면) ‘김남국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 의원은 22일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강성 팬덤과 민주당이 절연해야 한다. 절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 강성 팬덤으로부터 혜택을 받는 사람이 스스로 결단하고 끊어내는 것”이라며 “이재명 대표가 강성 팬덤 문제를 끊어내야 된다”고 촉구했다.
그는 “(지난 쇄신 의원총회 때) 이 대표께 (팬클럽) ‘재명이네 마을’ 이장직을 사퇴했으면 좋겠다고 말씀도 드렸다”면서 “‘재명이네 마을’의 주요 공지 글 제목이 ‘김남국 의원님 힘내세요’로 돼 있다. 그 정도로 민심과 동떨어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러니 당이 김 의원을 대처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어떤 국민이 ‘진정성 있구나. 참 잘하고 있구나’라고 얘기를 하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강성 팬덤, 이른바 정치 훌리건들로부터 민주당이 자유로워지지 못하면 집단지성이 발휘되지 못한다”며 “실제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강성 팬덤의) 공격 수위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 이 대표는 그런 문자를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앞서 이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이 대표의 강성 지지자로 분류되는 이른바 ‘개딸’에게 받은 문자메시지를 공개하면서 “이 정도 내용으로 문자를 보내는 분을 자랑스러운 민주당원으로 여길 수 있을까. 이걸 보고도 이 대표가 강성 팬덤과 단절하고 싶은 생각이 없는지 묻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의원은 “당의 쇄신이 필요하다”면서 “쇄신 의원총회 때 당 혁신기구를 만들자고 했는데 늦어지고 있다. 당 지도부가 혁신기구에서 이런 강성 팬덤, 정치 훌리건들과 어떻게 절연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고민하고 국민 신뢰를 회복할 방법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내 쇄신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못할 경우 ‘이재명 퇴진론’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지적에는 “그래서 제가 ‘임계점’이라는 표현을 쓴 것”이라며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서 박광온 의원이 1차 투표에서 과반을 훌쩍 넘는 압도적인 표로 당선됐다. 전체 의원의 생각이 이제는 비명(비이재명)계 쪽이 더 들어가서 얘기하는 게 필요하다는 판단이 가미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민주당은 김남국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모양새다. 20·30대 지지율이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미디어트리뷴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15~19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5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월 3주차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주 조사와 비교했을 때 4.6%포인트(p) 감소한 42.4%로 나타났다. 반면 국민의힘은 2.2%p 오른 38.5%로 집계됐다. 양당 간 격차는 3월 2주차 이후 10주 만에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2.0%p) 내로 좁혀졌다.
민주당의 정치적 텃밭으로 꼽히는 호남권 지지율은 5·18민주화운동 제43주년 기념식이란 호재에도 하락세를 보였다. 코인 이슈에 민감한 20대와 30대에서는 각각 12.9%p, 8.5%p 등 큰 폭의 하락이 관찰됐다.
리얼미터 측은 민주당 지지율 하락이 자사 조사 기준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가장 큰 낙폭이라고 전했다. 이전 최대 낙폭 기록은 오거돈 전 부산시장 성추행 논란이 불거진 2020년 4월 5주차(7.4%p)였다. 또 김 의원 논란이 ‘조국 사태’(3.0%p)나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3.1%p) ‘추미애-윤석열 갈등’(4.4%p)보다도 부정적 영향을 크게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리얼미터 조사는 무선(97%)과 유선(3%)을 병행한 자동응답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3.2%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