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사의를 밝힌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인권수사정책관 김성문(56‧사법연수원 29기) 부장검사가 “내부 비판을 외면하고 기존 업무 점검과 평가를 하지 않는 조직은 건강하다고 보기 어렵다”며 수뇌부를 비판했다. 김 부장검사는 검찰 출신으로 지난 2021년 공수처 첫 출범 때 합류했던 ‘1기 멤버’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부장검사는 지난 19일 직원들에게 이메일로 보낸 사직 인사글에서 “공수처 근무기간은 공직생활 중 몸은 가장 편했던 반면 마음은 가장 불편한 시기였다”며 이 같이 밝혔다.
김 부장검사는 “공수처 부임 이후 사건사무규칙 제정부터 다른 수사기관과의 관계 정립, 비판적 언론과 국회를 보는 시각과 대응 방향 등을 두고 법원 출신 간부들과는 다른 의견을 개진해왔다”고 밝혔다. 판사 출신인 김진욱 처장과 여운국 차장 등과 갈등이 있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공수처는 수사기관의 컨트롤타워다’ ‘검찰이 일부 언론과 짜고 공수처를 죽이려 한다’ 등 말이 수시로 오가는 간부회의에서 저의 다른 의견이 받아들여 질 여지는 많지 않았다”며 “다른 기관을 무시 또는 적대시하는 듯한 태도는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김 부장검사는 “검사·수사관들이 잇달아 사직 의사를 밝히던 2022년 여름경 진솔한 토론을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하자고 제안했지만, 오히려 ‘사직하는 사람이 무책임하다’는 취지로 비난하는 말이 들렸다”고 말했다. 이어 “얼마 후부터는 간부들의 목요 티타임도 없어졌고 그 무렵부터 사직을 진지하게 고민하게 됐다”고 했다.
김 부장검사는 또 “공수처 관련 기사가 나올 때마다 ‘보안이 취약하다’ 하는데, 기밀과 무관한 일에 관한 보도를 보안과 결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 공직자는 사적 자리에서도 언행을 신중하게 해야 하고, 비판적 보도가 있다면 먼저 자신의 언행에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부장검사는 2000년 수원지검 검사로 임관했고 부산지검 외사부장, 서울서부지검 공판부장 등을 거쳐 2017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했다. 2021년 공수처 수사2부장으로 임용돼 ‘공수처 1호 사건’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부당 특별채용 의혹을 수사했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